논문 상세보기

제주도에 이입된 황소개구리(Rana catesbeiana)와 붉은귀거북(Trachemys scripta elegans)의 서식실태 및 관리방안 KCI 등재

Current Conditions of Habitat for Rana catesbeiana and Trachemys scripta elegans Imported to Jeju-do, Including Proposed Management Pla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46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제주도에 이입된 황소개구리와 붉은귀거북의 분포현황과 서식실태를 파악하여 외래동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필요한 생물상 현황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제주지 역에 적용 가능한 관리방안을 마련하고자 2005년 3월부터 2006년 5월까지 이루어졌다. 조사결과, 제주도내 황소개구리는 한경면, 대정읍, 안덕면 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도 서부지 역은 황소개구리의 서식 조건이 양호하여 쉽게 개체수가 감소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며, 다른 지역으로의 확산도 우려될 뿐만 아니라 토착 곤충류, 어류, 양서류, 파충류 등에 대한 피해가 예측되어 구제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붉은귀거북은 제주도내 15개소의 연못에서 92개체이상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붉은귀거북은 최상위 포식자로서 연못의 생태계 파괴와 배설물에 의한 수질오염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붉은귀거북의 관리방안으로는 방생 자제 홍보, 생태적 습성을 이용한 퇴치방안, 인위적 확산을 막기 위해 다소 많은 개체가 서식하고 사람들의 왕래가 많은 서식지에는 위해성에 대한 홍보판 설치와 더불어 지속적인 관리가 따라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habitat for Rana catesbeiana and Trachemys scripta elegans in order to obtain the current basic data on biota needed for establishing a database on non-indigenous species(NIS) in Jeju-do and to develop management plans applicable to Jeju, starting from March 2005 until May 2006. As a result of an inspection, it was found that the habitat for R. catesbeiana in Jeju includes Hankyeong-myeon, Daejeong-eup, and Ahndeok-myeon. These areas are all located on the western side of Jeju-do, and considered to have favorable conditions for R. catesbeiana to inhabit. Thus, it is unlikely that the population of R. catesbeiana will possibly decrease; what's worse, there exists even a risk that it could not only expand to other regions but also do damage to the population of native insecta, fishes, amphibians and reptiles, so this terrible species ought to be exterminated. More than 92 individuals of T. scripta elegans species were found to inhabit in 15 ponds around Jeju Island. T. scripta elegans. as the topmost predator, could destruct the pond ecosystem, and also cause a problem of water pollution due to its excrement. Counter-measures against T. scripta elegans could include publicity activities encouraging self-control of the release of captive T. scripta elegans, extermination plans using its ecological habits, and sign-posting publicizing its hazard to healthy ecosystem at the areas with high population density of T. scripta elegans or at its habitats with high foot traffic, together with the continuous management of NIS(none-indigenous species).

저자
  • 오홍식 | Oh, Hong-Shik
  • 홍창의 | Hong, Chang-Eu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