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산사태취약성 분석을 통한 북한산국립공원의 생태적 위험도 평가 KCI 등재

An Assessment of Ecological Risk by Landslide Susceptibility in Bukhansan National Par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49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북한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산사태 발생인자들에 대한 공간정보를 구축하였으며, 중첩분석 및 합산평가 매트릭스분석을 이용한산사태 취약성 지도 및 생태적 위험 지표 작성을 통해 향후산사태 재해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산사태 평가 인자로는 사면경사, 사면방향, 경사길이, 토양배수, 식생활력도(NDVI), 토지이용도가 선택되었으며, 공간데이터베이스는 30m×30m 해상도로 구축되었다. 분석결과, 우이동 및 도봉계곡 일대의 산사태 취약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생태적 위험도는 도봉계곡, 용어천계곡 및 정릉계곡, 평창계곡 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 향후 이들 지역의 관리계획 수립 시 산사태 위험에 대한 영향도 고려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managed to establish the space information on incidence factors of landslide targeting Bukhansan National Park and aimed at suggesting a basic data for disaster prevention of a landslide for the period to come in Bukhansan National Park through drawing up the map indicating vulnerability to a landslide and ecological risks by the use of overlay analysis and adding-up estimation matrix analysis methods. This research selected slope angle, slope aspect, slope length, drainage, vegetation index(NDVI) and land use as an assessment factor of a landslide and constructed the spatial database at a level of '30m×30m' resolution. The analysis result was that there existed high vulnerability to a landslide almost all over Uidong and Dobong valleys. As for ecological risks, Dobong valley, Yongueocheon valley, Jeongneung valley and Pyeongchang valley were analyzed to be higher, so it is judged that the impact on a landslide risk should be also considered in time of establishing a management plan for these districts for the time to come.

저자
  • 김경태 | Kim, Kyung-Tae
  • 정성관 | Jung, Sung-Gwan
  • 유주한 | You, Ju-Han
  • 장갑수 | Jang, Gab-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