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1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cosystem is composed of various elements and maintains the function of the system.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cosystem type affect the culture of the area, 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ecocultural characteristics when establishing the polic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value based on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of eco - cultural resources and to find out how to use it in establishing related policies. The target sites were Gyeongsangbuk - do province, and were evaluated using 7 items of natural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ocio - cultural characteristics. The information used in the evaluation was 13 spatial information such as forest map, ecological and natural map, natural park distribution map, and it was ranked according to the utilization of policies such as tourism resource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and evaluated by the minimum indicator method.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336 excellent areas were selected. In the selected area, 6 kinds of endangered species from 1,914 observation, and cultural resources were distributed from 194 sites. Since ecological resources and cultural resources are applied to the same evaluation method and expressed in a single scale, it is considered to be easy to use in administrative plans and policies. Further studies such as comparison of evaluation models and subdivision of grades are necessary.
        4,000원
        2.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제주도 내에서 서식하는 운문산반딧불이(Luciola unmunsana)의 분포현황, 출 현 시기 그리고 개체 크기에 대한 분석을 위해 2013년 6월부터 7월 초까지 총 12개 지점을 중심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역 중 한라산 지역은 한라산을 관통하 는 일부 국도를 중심으로 내부 산림지역을 조사하였으며 그 외 주요 오름(곶자왈) 은 내부 지역 전체를 조사하였다. 조사방법은 선조사법과 정점조사법을 병행하였 으며, 일부 개체는 채집하여 액침 보관하였다. 총 12개 지점 모두에서 운문산반딧 불이가 채집되었는데, 그 중 제주시 한경면 청수리,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 서귀포 시 남원읍 신례리 등지에서 오후 21시, 100m를 기준으로 각각 393, 141, 250마리를 나타냄에 따라 가장 높은 출현빈도로 기록되었다. 이는 국내 내륙지역의 주요 반딧 불이 출현 지역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국내 최대 반딧불이 서식지로 판단되며 이에 대한 보전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들의 출현 기간은 6월 중순부터 시작하 여 6월 말경(6월 20~30일 사이)에 최고점을 나타내었으며 최종적으로 7월 중하순 까지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나 내륙지역의 출현 시기보다 2-3주가량 늦게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에서 채집된 제주도 개체들은 전 개체가 운문산형으로 나타났으며, 앞날개길이(Elytral Length, EL)를 측정한 결과 5.16~6.91(5.91±0.48, n=48)mm로 측정되었다. 내륙의 개체들과 비교를 위해 3개 지역의 개체를 비교하였는데 부산 6.54~8.53(7.59±0.54, n=30)mm, 충북 옥천 6.52~8.40(7.47±0.52, n=30)mm 등으 로 나타나 제주도의 개체들이 내륙의 개체에 비해 현저히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천에서 채집된 파파리형 6.27~7.77(7.09±0.46, n=7)mm 보다도 작게 나타남에 따라 추후 분류학적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3.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01-2012까지 대구지역에서 119 구조대에 의한 사회성 말벌의 벌집제거 출동건수를 보면 총 11,948건으로 나타났으며 이 건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2008년 이후로 그 증가세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는데 2001년 147건에 비해 2012년에는 4,979건으로 약 34배 증가하였다. 이들 출동은 주로 7-9월에 가장 높게 나타내었는데 이는 벌집이 가장 성숙된 시기와 일치한다. 대구 내 상습 피해 지역은 12년 동안 북구 지역이 2,825건으로 가장 많은 신고건수를 나타내었으나 단위면적당으로 보면 남구 지역이 33.6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실질적인 피해가 가장 높은 지역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시 내 말벌의 피해에 대한 방제 및 조절은 남구가 가장 우선적으로 그 대상지가 되어야 할 것이다. 대구 도심지에서 나타나는 말벌종은 13종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왕바다리(Polistes rothneyi koreanus)가 집중적으로 피해를 일이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근 아열대 침입종 등검은말벌(Vespa velutina nigrithorax)이 도시 내에서 그 분포를 늘려가고 있어 피해가 예상된다. 대구지역에서 말벌의 영소가 급격히 증가하는 원인은 도시 내 녹지대의 증가가 가장 큰 원인으로 생각되어지며, 그 외 영소 장소의 안전성, 도시 내 높은 온도에 따른 콜로니 발육 증대, 낮은 빈도의 포식 및 기생률 등으로 보여 진다.
        4.
        200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북한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산사태 발생인자들에 대한 공간정보를 구축하였으며, 중첩분석 및 합산평가 매트릭스분석을 이용한산사태 취약성 지도 및 생태적 위험 지표 작성을 통해 향후산사태 재해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산사태 평가 인자로는 사면경사, 사면방향, 경사길이, 토양배수, 식생활력도(NDVI), 토지이용도가 선택되었으며, 공간데이터베이스는 30m×30m 해상도로 구축되었다. 분석결과, 우이동 및 도봉계곡 일대의 산사태 취약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생태적 위험도는 도봉계곡, 용어천계곡 및 정릉계곡, 평창계곡 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 향후 이들 지역의 관리계획 수립 시 산사태 위험에 대한 영향도 고려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5.
        200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to streets at Daegu, and view adjective how people react when draw a bird into interior in city utilize and examine becoming direction of street trees system. Findings on survey, citizens appear by average 2.87 in management degree of street trees and average 2.76 in various of species of trees, discontent thing more or less by average 2.91 in satisfaction of the beauty, and demonstrate high shame from satisfaction for season stuff to comparative high 3.24, generally, citizens appear by there are parts to improve by do dissatisfaction about street trees system at Daegu. Also, street trees 2 lines plantings for a bird is average 3.05, shows affirmative feedback about that shrub utilization for a bird see high numerical value by average 3.4 and people draw a bird to space of city. Therefore, construct street trees friendly to the nature and be considered to need to re-establish set street trees environment in citizens preference to recover city ecosystem. As result that examine reaction which treat in street trees planting programs to draw birds into city through view adjective, Likert scales about 2 lines plantings of street trees and additional planting of shrub show affirmative feedback by average 3.4 both ordinary people and specialist group, if people want to draw birds into city by various of method, various research should be accomplished.
        4,000원
        6.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일반 가정 초등학교 아동들의 다문화 가정 아동에 대한 편견적 인식을 해소하기 위해서 일반 가정 아동들의 다문화가정 아동들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경기도 수도권 지역의 초등학교 3~5학년 재학생 364명을 대상으로 조사결과를 분석하였으며, 모두 일반 가정의 아동들이다. 연구결과, 아동의 다문화 대중매체 경험이 다문화 아동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고, 교사의 다문화 인식도 아동의 사회적 거리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다문화 대중매체 경험과 사회적 거리감의 관계에서 교사의 다문화 수용도는 부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일반가정 아동의 다문화 대중매체 경험이 다문화 가정 아동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대중매체에서 나타나는 다문화적 편견을 배제하기위한 노력과 함께 교사의 다문화 인식의 개선을 위한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