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제주 생물권보전지역 내 한라산국립공원의 경관분석 : 단편화 현상 KCI 등재

Landscape Analysis of the Hallasan National Park in a Jeju Island Biosphere Reserve: Fragmentation Patter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51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도로는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인간 활동의 지표이며 흔히 서식지 단편화, 서식지 축소, 서식지 고립을 유발한다. 제주도의 한라산국립공원(면적=153.4km2)은 지형, 지질, 생물상의 특이성이 높으며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MAB)의 핵심지역으로도 중복 지정되어 있다. 공원의 이러한 높은 보전가치가 많은 탐방객과 도로건설을 유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로로 인한 경관의 변화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GIS를 활용하여 한라산국립공원의 도로로 인한 서식지 단편화 양상을 공원 용도지구, 해발고도, 식생에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포장도로와 법정 비법정탐방로에 각각 112m, 60m 버퍼를 적용시킨 결과 한라산국립공원은 총 100개의 단편으로 나뉘었다. 포장도로와 법정탐방로만을 고려했을 때 드러난 10단편의 면적은 0.002km2-38.2km2(평균면적=14.2 km2)에 이르렀고 자연보존지구와 자연환경 지구 모두에서 각기 약 7%가 가장자리로 판정되었다. 이들 단편의 형태지수 평균은 5.19(100단편 중), 7.22(10단편 중)이었지만 공원의 동서 양단과 정상부근에 있는 단편들의 형태지수가 보다 높았다. 5개의 법정탐방로가 모두 분화구까지 연결되어 있고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활엽수림, 침엽수림, 초지로 식생이 전환되기 때문에 높은 고도, 특히 고유식물과 고산식물이 많은 고도 1,400m이상의 초지에서 서식지 면적이 현저하게 감소했다. 이런 결과는 한라산국립 공원도 도로로 인한 서식지 단편화를 겪고 있으며, 단편화로 인한 서식지 악화와 서식지 소실의 위험이 공원의 자연환경 지구보다 한라산 정상의 백록담을 중심으로 하는 자연보존지구에서 더 높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한라산국립공원의 현 도로망은 생태계 보전과 보호라는 국립공원의 목표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사료된다. 한라산국립공원 전체가 또한 MAB 핵심지역임을 고려한다면, 공원 용도지구의 재설정과 단편화를 완화시키기 위한 공원 내 도로관리에 보전노력이 경주되어야 할 것이다.

Roads are an indicator of anthropogenic activity causing ecosystem disturbances and often lead to habitat fragmentation, habitat loss, and habitat isolation. The Hallasan National Park(153.4km2) on Jeju Island being distinguished for its unique geology, topography, and biota has also been designated as a core area of UNESCO Man and the Biosphere(MAB) Reserve. Although the high conservation value of this park has contributed to a rapid growth of tourists and road construction, landscape changes due to roads have not been examined yet. We used GIS systems to examine the fragmentation pattern caused by roads, in relation to its zonation, elevation, and vegetation. When a buffer was applied to roads(112m width for paved roads and 60m width for both legal and illegal trails), the park consisted of 100 fragments. The ten fragments generated after applying buffer to only paved roads and legal trails ranged from 0.002km2 to 38.2km2 with a mean of 14.2km2, and about 7% of both nature conservation zone and nature environment zone of the park were edge. Fragments in both east and west ends of the park and around the summit exhibited relatively high shape indices with means of 5.19(for 100 fragments) and 7.22(for 10 fragments). All five legal trails are connected to the pit crater of the mountain and vegetation changed from broadleaf forests and conifer forests to grasslands with elevation, consequently resulting in dramatic fragment size reduction in grasslands at high elevation, in particular above 1,400m, where endemic and alpine plants are abundant. These results show that in Hallasan National Park the risks of habitat deterioration and habitat loss due to fragmentation may be more severe in the nature conservation zone dominated by Baengnokdam than in the nature environment zone. Therefore, current road networks of the park appear to fall short of the goal of the national park for ecosystem conservation and protection. Considering that the entire Hallasan National Park also serves as a MAB core area, conservation efforts should focus, first of all, on park rezoning and road management to mitigate habitat fragmentation.

저자
  • 강혜순 | Kang, Hye-Soon
  • 김현정 | Kim, Hyun-Jung
  • 장은미 | Chang, Eun-M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