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리산국립공원 피아골과 대성골 지역의 산림군집구조 동태(I) KCI 등재

Dynamics of Forest Community Structure at the Valley of Piagol and Daeseonggol in the Jirisan National Park(I)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53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지리산국립공원 피아골과 대성골 지역의 산림군집구조의 동태를 장기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2001년에 고정조사구를 설치하여 2001년과 2006년에 식생조사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피아골, 대성골 지역 산림의 우점종은 각각 서어나무와 신갈나무였으며, 피아골 지역의 산림이 대성골 지역보다 종다양도 지수가 더 높았다. 조사지역 주요수종의 직경급분포로 보아 안정된 식물군집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곡간부에 위치한 피아골의 산림과 소능선 사면부에 위치한 대성골의 산림간 종구성은 매우 이질적이었다. 피아골지역 산림의 생장량은 지난 5년간 약 6.4m2/ha 감소하였으나 대성골지역은 약 8.27m2/ha 증가하였으며, 이는 노거수들의 고사에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

The permanent monitoring plots were installed in 2001 for long-term monitoring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ies at the Piagol(Valley) and Daeseonggol(Valley) in the Jirisan National Park, and monitored the forest structure in the studied sites in 2001 and 2006. Dominant species at Piagol and Daeseonggol was Carpinuslaxiflora and Quercus mongolica respectively.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major species' stem diameter, the species diversity index was higher in Piagol than that of Daeseonggol. The distribution of diameter in major tree species in the studied sites showed a stable plant community structure. The forest of Piagol, which is positioned in the valley, showed a quite a different composition of species from that of Daeseonggol, which is positioned on the slope. In the last five years, the overall grows rate of Piagol Forest decreased by 6.4m2 per hectare, while Daeseonggol Forest increased by about 8.27m2 per hectare. I think that this is because of the fact that a lot of large old trees have died.

저자
  • 오구균 | Oh, Koo-Kyoon
  • 김용식 | Kim, Yong-Shik
  • 오장근 | Oh, Jang-Guen
  • 기영범 | Ki, Young-B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