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마라도에 번식하는 섬개개비의 번식지 특성 KCI 등재

Breeding Site Characteristics of Styan's Grasshopper Warblers(Locustella pleskei) on Mara Islet, Jeju Province,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60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국제적 멸종위기종이며, 동아시아에 국한하여 분포하는 섬개개비(Locustella pleskei)는 한국의 추자도, 마라도, 칠발도, 홍도 등에서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구체적인 번식 정보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마라도(N 33˚ 06', E 126˚ 16')에 번식하는 섬개개비의 번식 현황과 번식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2008년 5월부터 9월까지 섬개개비 총 11쌍이 번식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번식하는 둥지는 곰솔숲의 관목층에 주로 분포하였다. 둥지는 곰솔숲의 관목층에 주로 분포하였으며,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와 돈나무(Pittosporum tobira) 등 관목성 나무를 둥지목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둥지목의 수고는 2.77±1.10m, 지면으로부터 둥지의 높이는 1.75±0.56m였으며, 둥지목의 수고는 다른 주변의 나무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나 마라도의 강한 해풍을 피하는데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주로 억새잎이나 사초과 식물의 잎을 이용하여 밥그릇 형태의 둥지를 만들었으며, 둥지의 지름은 11.9±0.5cm, 높이는 11.1±1.1cm, 깊이는 5.8±0.4cm로 나타났으며, 산좌지름은 6.0cm였다. 마라도에서 섬개개비는 다른 섬지역보다 번식시기가 다소 늦었으며, 한배산란수는 3개로서 보통 다른 번식지의 4-5개보다 작았다. 이는 번식시기가 늦어질수록 한배산란수가 적어지는 일반적인 경향을 따르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마라도 곰솔숲의 솎아베기와 관목층 제거는 밀집된 관목층을 둥지로 선호하는 섬개개비의 번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섬개개비 번식 생태 및 서식지에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조사가 요구되며, 숲가꾸기 수행에 있어서도 섬개개비의 보전을 위한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Styan's Grasshopper Warblers (Locustella pleskei) are vulnerable species distributed in East-Asia only. Its known breeding sites in Korea are remote islets including Hongdo Islet, Chilbal Islet, Mara Islet, and Chuja Islets, and, therefore, the breeding biology of this species is still poorly known. This study was conducted on Mara Islet (N 33˚ 06', E 126˚ 16') from May to September 2008 to investigate the breeding status and breeding site characteristics of the grasshopper warblers. A total of 11 breeding pairs and their nests were found on trees and shrubs at artificially planted forests and hedges of Pinus thunbergii. The grasshopper warblers preferentially utilized the shrub trees for nesting places, and major nesting trees were Camellia japonica, Pittosporum tobira and Pinus thunbergii as nesting trees. Average heights of nesting trees and nests were 2.77±1.10m and 1.75±0.56m, respectively. The grasshopper warblers selected lower shrubs and trees for nesting than randomly selected ones around them, probably to avoid strong and prevailed winds in flat and un vegetated environments on Mara Islet. The shape of nests was a round bowl-type, and measurements of nests were 11.9±0.5cm in exterior nest diameter, 11.1±1.1cm in height of exterior nest, 5.8±0.4cm in interior nest depth, and 6.0cm in interior nest diameter. It incubated eggs until the early August on Mara islet, and incubation periods of Mara Islet was possibly later than that of other areas. Furthermore, the clutch size in the study area was three, and they laid smaller number of eggs than normal clutch size (4~5 eggs) reported in other areas. Although we could not observe any nest predator on this species in the study area, selective cutting and pruning of trees will diminish dense shrub layer of forests. Therefore, it may affect the breeding of this threatened species which prefers dense shrubs of artificially planted forest of Pinus thunbergii. This study suggests that detailed and consistent further research on breeding biology and habitats of the grasshopper warblers are needed to conserve and manage of Pinus thunbergii forests on Mara Islet as an important breeding site of Styan's Grasshopper Warblers.

저자
  • 김은미 | Kim, Eun-Mi
  • 김화정 | Kim, Hwa-Jeong
  • 최창용 | Choi, Chang-Yong
  • 강창완 | Kang, Chang-Wan
  • 강희만 | Kang, Hee-Man
  • 박찬열 | Park, Chan-Ry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