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장애인들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장애인들과 가장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복지관 운영자를 대상으로 옥상녹화지의 공간, 시설 및 식재식물, 프로그램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대상지는 세 지역으로 전원형태의 복지관인 남양주 장애인복지관, 도심형의 서울 장애인복지관, 전원과 도심의 중간형태를 띠고 있는 시흥 장애인복지관을 선정하여 대상지별 특성에 따른 선호도 차이에 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세 지역 모두 50%이상이 복지관내 옥상녹화지에 대해 인지하고 있었으며 이용목적으로는 산책과 대화의 장소로서 옥상을 활용하고 있었다. 시설물 선호도는 세 지역에서 벤치, 파고라, 휴지통 등 휴게시설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식재식물은 허브식물, 관상수 등 관상가치가 높은 식물을 선호하고 있었다. 공간선호도의 경우 텃밭, 체험실습장, 생태습지 등 원예프로그램을 할 수 있는 자연체험공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인복지관 옥상녹화지는 휴식공간과 함께 장애인들의 자연학습공간으로서 충분히 활용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선호 프로그램의 경우 자연체험프로그램(28.9%)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원예프로그램(27.0%) 순으로 나타나 옥상에서 자연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장애인복지관 옥상녹화지를 단순 휴게의 공간 뿐 아니라 장애인들의 자연체험, 원예치료공간으로서 치유기능을 부각시킬 수 있는 녹화구성요소의 차별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effective use of green rooftop space, facilities and gardening, targeting members from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with disabilities. The three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studied were, Namyangju Center located in a rural area, Seoul Center located in a urban area and Siheung Center located in both a rural and urban area. We analyzed the difference in preference on the basis of each local community area. In fact, it indicated that 50% of each center knew about the green rooftop at their facilities and its use as a place for taking walks and conversation. It also showed that there was the high preference for priority objects such as a bench, pergola and trash can. Also the preference for natural visualizations like herbal or ornamental plants. The study showed a high preference to a small vegetable plot, hands on gardening and ecological wetland. It also indicated that there was a high preference for experience in nature programs on the rooftops (28.9 %) versus the rate of horticultural programs (27%). Therefore, it proves that the composition of a green rooftop at a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should be differentiated so that the green rooftop can be a place not only for resting, but also great for a natural learning experience and gardening therap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