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청미천 구하도 복원 설계를 위한 하도형성유량 산정 KCI 등재

Evaluation of Channel-forming Discharge for the Abandoned Channel Restoration Design of Cheongmi Strea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31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구하도 및 폐천복원은 하천에서의 이수와 치수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환경 및 생태 서식처 기능을 강화하고 개선하기 위한 여러 방법들 중 하나이며 이러한 구하도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주수로와의 하도 안정성을 고려하여 횡단면 형태를 결정하고 하도선형을 설계하게 된다. 이러한 하도설계시 기준이 되는 유량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 기준유량을 하도형성유량 또는 지배유량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하도형성유량을 산정하는 방법으로는 만제유량, 특정 재현기간별 유량, 유효유량을

The abandoned channel restoration is one of methods to enhance the environmental function and ecological habitat as well as the functions of water-utilization and flood control. The channel-forming or dominant discharge must be evaluated and defined to de

저자
  • 지운(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rg. Myongji, Univ.) | Ji Un
  • 강준구(Dept., of, Water, Resources, Research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Kang Jun-Gu
  • 여운광(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rg. Myongji, Univ.) | Yeo Woon-Kwang
  • 한승원(명지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H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