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만 대도주변에 서식하는 어류군집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 2009년 3월부터 2010년 2월까지 소형 빔트롤을 이용하였으며, 동일 해역에서 실시된 이전 연구결과(1990~1991, 1995~1996)와 비교, 고찰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74종, 8,133개체가 출현하였다. 우점종은 주둥치, 보구치, 점줄망둑, 청보리멸, 열동가리돔, 풀반지, 돛양태, 베도라치, 도다리, 쥐노래미, 문치가자미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11어종은 전체 개체수의 89.5%, 총 생체량의 58.9%를 차지하였다. 우점종이었던 개체들은 주로 작은 크기의 어종과 대형 어류의 치어였다. 종조성 및 출현량은 계절에 따라서 크게 변하였다. 2009년 5월과 10월에 가장 많은 종수가 출현하였으며, 2009년 5월에 개체수와 생체량이 가장 높았다. 출현 개체수 및 생체량은 모두 2010년 1월과 2월에 가장 낮았다. 어류군집의 계절변동은 수온변화와 연관이 있었다. 이전 연구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단위면적당 전체 개체수와 생체량은 더 높았으며, 주둥치의 출현량은 급격히 증가한 반면에 꼼치의 출현량은 감소하는 양상이었다. 어류군집의 종조성 변화는 광양만내의 전반적인 해양환경 특성의 연간변화에 기인하였다.
Changes of fish assemblage inhabiting around Dae Island in Gwangyang Bay, Korea were investigated using a small beam trawl monthly from March 2009 to February 2010. These data we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in previous studies(1990~1991 and 1995~1996) at our study sites. A total of 8,133 fish belonging to 74 species in 38 families were collected. Leiognathus nuchalis, Argyrosomus argentatus, Acentrogobius pellidebilis, Sillago japonica, Apogon lineatus, Thryssa hamiltoni, Repomucenus richardsonii, Pholis nebulosa, Pleuronichthys cornutus, Hexagrammos otakii, and Limanda yokohamae dominated, and these were responsible for 89.5% and 58.9% in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in biomass, respectively. These were primarily small species or early juveniles of larger species. Seasonal variation in both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was large: the peak number of fish species occurred in May and October 2009, whilst both number of individuals and biomass were the highest in May 2009. Fish numbers as well as biomass was lowest in January and February 2010. Seasonal changes in the abundance of fishes corresponded with temperature. Compared with the previous studies,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and biomass per unit area(m2) were higher, and the predominance of L. nuchalis occurred while abundances of Liparis tanakai were significant decreased. These results seemed to be change of species composition in fish assemblage which was due to variation of annu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Gwangyang B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