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땅콩 유전자원의 기름함량과 지방산 조성 KCI 등재

Variations of Oil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Groundnut Germplas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353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땅콩 유전자원의 기름함량과 지방산조성을 분석하여 고함유 양질 지방산조성 품종개량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작물시험장에서 보존하고 있는 땅콩 172품종을 공사하여 기름함량과 지방산조성의 품종간 차이를 조사함과 아울러 품종의 기원, 초형, 숙기, 종실의 크기에 따른 변이와 이들 형질과의 관계등을 조사하였던바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땅콩 종실의 기름함량은 172품종의 평균 51.3%로서 품종의 기원, 초형, 숙기 및 종실의 크기에 따라 다르고 품종의 기원에 따라서는 RPIS수집종, 땅콩의 숙기에 따라서는 중생종, 초형에 따라서는 Spanish type, 종실의 크기에 따라서는 100입중 30~60g인 품종에서 기름함량이 가장 많았다 2. 공시된 172품종 중에서 기름함량이 가장, 높은 품종은 RPIS 152108 로서 57%이고 초형은 Spanish type으로서 100입중은 40g이었으며, 한국 재래종 중에서도 연기재래 는 기름함량이 55.8%로서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3. 땅콩기름의 주된 지방산인 oleic acid와 linoleic acid는 공시품종 평균 81.4%였으며 그중 oleic acid는 평균 42.9%로서 품종의 기원에 따라서는 한국 육성품종이 46.8% 숙기에 따라서는 조색종이 46.6, 초형에 따라서는 신풍초형이 47.2%, 종실의 크기에 따라서는 100입중 909이하인 품종이 44.9%로서 높았다. 4. 땅콩기름중 두번째로 많이 함유된 linoleic acid는 평균 38.5%로서 품종의 기원에 따라서는 RPIS수집종이 41.1%. 숙기에 따라서는 중생종이 39.5%. 초형에 따라서는 Valencia type이 41.4%, 종실의 크기에 따라서는 100입중 30~60g인 품종이 40%로서 높았다. 5. 공시품종들중 oleic acid 함량이 가장 높은 품종은 61R-PYT-224 로서 54.1%였으며, linoleic acid 함량이 가장 많은 품종은 RPIS 152136 로서 49%였다. 6. 땅콩기름중 소량 함유된 지방산은 palmitic acid, stearic acid, arachidic acid. eicosenoic acid, behenic acid였으며 이들 지방산 함량의 평균은 18.7%이고, 함유량은 품종의 기원이나 숙기, 초형, 종실의 크기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7. 지방산과 기름 및 다른 형질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기름함량은 stearic acid와 정의 상관, oleic acid와 부의 상관이 있었으며, 종실의 크기는 oleic acid 및 eicosenoic acid와 정의 상관, linoleic acid와 부의 상관이 있었으나 숙기와 지방산간에는 상관이 없었다. 8. 땅콩에 함유된 지방산들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주지방산인 oleic acid와 linoleic acid 사이에는 r=-0.839**의 고도의 부의 상관이 있었으나 이들 두개의 지방산은 다른 대부분의 소량 함유된 지방산들과는 부의 상관이 있었다. 9. 한국 육성품종으로서 일반농가에서 재배하고 있는 땅콩 장려품종의 지질 분획 glyceride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triglyceride 함유율이 가장 높은 품종은 남대 땅콩 으로서 95%, 가장 낮은 품종은 진풍 땅콩 으로써 85.2%였다.

Groundnut germplasms of 172 varieties collected at Crop Experiment Station were used to analyze their oil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to obtain basic information for breeding of high oil quality varieties. The results on oil and fatty acid content were classified as based on their genetic backgrounds of origin. flowering date. plant type and 100 kernel weight. Mean oil content of the 172 varieties was 51.3%. The highest oil content was 57% in RPIS 152108 being the Spanish plant type and 41g/100 kernels. Major fatty acids contained in the oil were oleic and linoleic acids showing 81.4% in mean of 172 varieties. Of the both fatty acids, oleic acid was 42.6% and linoleic acid 38.5% in mean value. The highest oleic acid variety was 61R-PYT-224 being 54.1%. and the highest linoleic acid variety was RPIS 152136 being 49%. Minor fatty acids in the oil were composed with palmitic, stearic. arachidic. eicosenoic and behenic acids being 18.7% in total mean content of the five fatty acids. Those minor fatty acids also showed considerable variations in content by origin. plant type. flowering date and seed size of the varieties. The oil content correlated with stearic acid positively and with oleic acid negatively. of the fatty acids. oleic acid was highly correlated with linoleic acid negatively being r=-0.839**. However. those two fatty acids were correlated with the other minorfatty acids negatively. Current Korean six cultivars were analyzed on their glyceride content. The highest triglyceride variety was Namdaetangkong being 95%. and the lowest triglyceride variety was Jinpuongtangkong being 85. 2% in triglyceride content.

저자
  • 강광희(영남대학교 농축대)
  • 이봉호(작물시험장)
  • 방진기(작물시험장)
  • 이정일(작물시험장)
  • 박희운(작물시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