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홍화 밀식 및 적심이 꽃잎과 종실 수량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the Planting Density and Pinching on Yield of Petal and Grain in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360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홍화 재배시 종실의 수량 감소가 적으면서 꽃잎 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밀식과 적심을 통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개화기는 관행이 6월 23일인데 비해 적심 처리구는 2일 늦은 6월 25일에 개화하였으며 밀식처리구는 같았다. 유효분지수는 2열 밀식재배와 3열 밀식재배가 적심이나 대조구에 비해 많았으며, 유효화두수는 3열밀식재배에서 270개/m2 로 가장 많았으나 적심은 186~223 개/로 적었다. 종실 수량은 대조구 10a당 220 kg에 비해 2열밀식재배는 231 kg으로 5% 증수 되었다. 채화 화두수는 3열밀식이 가장 많았으나 건조된 꽃잎 수량은 2열밀식과 3열밀식이 10a당 25.4 kg, 26.9 kg으로 대조구의 22.0 kg에 비해 각각 15%, 22% 증수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the effect of the pinching and planting density on yield of petal and grain in safflower (Caythamus tinctorius L.). The planting density was high effective branch number per m2 compared with pinching, and effective flower bud was most in 270ea/m2 in three line planting density, but in case of pinching was few at 186~223ea/m2 Grain yield was increased with 231 kg/10a at double line planting density compared with in 220 kg/10a of control. Petal yield of double line and three line planting density was 25.4 kg/10a and 26.9 kg/10a, it was increased 15, 22% compared with 22.0 kg/10a of control, respectively.

저자
  • 박소득(경북농업기술원 신물질연구소)
  • 김재철(경북농업기술원 신물질연구소)
  • 박준홍(경북농업기술원 신물질연구소)
  • 김세종(경북농업기술원 신물질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