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ploratory Discussion of Criticism and Methods on the Chinese Literature Class
한문과 수업 비평과 방법에 대한 탐색적 논의
본 논문은 한문과 수업 문화를 바꾸기 위한 한 방법으로 한문과 수업 비평을 활성화하는 것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한문과 수업 문화는 고립적이고 개인주의적 이다. 이로 인해 한문 수업에 대한 소통적이고 생산적인 이야기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기존의 수업 관찰법은 이런 문제를 개선하는데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한다. 한문과 수업 비평은 구체적인 수업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수업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한문교사의 수업 문화를 개선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필자는 한문과 수업 비평을 위하여 수업 비평의 개념, 방법, 구체적 사례 등을 예시하였고, 한문과 수업 비평이 우리의 학교 수업 문화 속에서 순기능을 하기 위 한 제언을 하였다. 첫째, 한문과 수업 비평이 타율적 간섭이 아닌 한문교사 스스로의 필요에 의해 하나의 자발적인 문화운동의 차원에서 전개되길 바란다. 둘째, 한문과 수업 비평은 한 교사를 통해 한문교사들의 보편적인 문제를 읽어내는 것이지 한 교사의 잘잘못을 평가하는 것으로 오해(誤解)해서는 안 된다. 셋째, 한문과 수업 비평의 가능성과 함께 그 한계(限界)도 같이 인식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한문과 수업 비평을 통해 다양한 수업이 존재한다는 점과 한문과 수업을 보는 관점(觀點)의 다양성을 체험(體驗)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한문과 수업 비평의 활성화를 위해서 한문 교과 모임이나 교육청 차원 의 실천이 필요하다. 이 논문은 한문과 수업 비평론 정립을 위한 시론적인 논의로 앞으로 한문과 수업 비평의 구체적 사례 축적과 함께 비평론을 이론적으로 정립해야 하는 과제를 남겨두고 있다. 특히 한문교과만이 가질 수 있는 ‘한문과 수업 비평’의 독자성, 개 별성이 무엇인지 더욱 고민하여 한문과 수업 비평의 이론적 토대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sists that revitalizing the Chinese literature class is necessary as a way of changing its instructional culture. Instructional culture of the Chinese literature class is isolated and individualistic. So, communicative and productive comments on the Chinese literature class have not been made well. And observing classroom lessens of existing classes has not been helpful to improve these problems. Criticism on the Chinese literature class can attribute to improving the instructional culture of Sino-Korean teachers by providing information for class improvement together with depth-understanding on detailed instructions. The writer of this study illustrated concept of criticism, methods, and detailed cases etc for criticism on the Chinese literature class, and made a proposal so that its criticism could do right function in our school class culture. First, this study expects that criticism on the Chinese literature class can be processed to a voluntary culture movement by necessity of Sino-Korean teachers themselves instead of heteronomous interference. Second, criticism on the Chinese literature class should not be understood such like evaluating the right and wrong of certain teacher because it intends to look into universal matters on Sino-Korean teachers through one teacher. Third, limitations of criticism on the Chinese literature class are required to be recognized together with its possibility. Fourth, through criticism on the Chinese literature class, existing various instructions and variety of view points on them will be able to be experienced. Fifth, in order to revitalize criticism on the Chinese literature class, practices from curriculum meetings and dimension of Education Office are required accordingly. This study is a tentative discussion for establishing critic theories on the Chinese literature class, and it leaves tasks of having to set up criticism theologically while accumulating cases of criticism on the Chinese literature class afterwa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