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文化’ 영역 成就基準 및 成就水準 내용 분석 KCI 등재

Content analysis on achievement standards and achievement levels of the domain of ‘ culture ’

‘문화’ 영역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내용 분석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541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9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이 글은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른 ‘문화’ 영역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을 소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문화’ 영역은 3개의 중영역, 5개의 내용 요소로 구성, 조직되었으며, 내용 요소에 따라 학습내용 성취기준이 개발되었다. 그리고 학습내용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성취기준을 개발하고, 성취기준에 따라 성취수준 을 세 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했다.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은 학교의 교수․학습과 평가 활동에 활용될 수 있다. 이 점을 고려하여 ‘문화’ 영역 예시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선다형, 서술형, 그리고 수행 평가 도구를 몇 가지 예시했다. ‘문화’ 영역의 특성을 고려할 때, 정의적 영역 평가 도구 개발이 후속 과제로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and analyse a level of achievement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culture’ pursuant to the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in 2009. The domain of ‘culture’ consists of 3 medium-sized parts and 5 components of the content.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ontent are developed depending on the components. I develop achievement standards after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ontent and suggest the level of achievement categorized as three phases according to achievement standards. The level of achievement and achievement standards could be utilized for class. I develop an assessment tool for examples about ‘culture’ in the light of the aforementioned situations. Tools for multiple choice, write-out answer, and performance assessment are illustrated in detail. The development of the assessment tool for an affective domain is required as follow-up measures.

목차
Ⅰ. 緖言
Ⅱ. 교육과정의 ‘문화’ 영역 내용
Ⅲ. ‘문화’ 영역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Ⅳ. ‘문화’ 영역 예시 평가 도구
Ⅴ. 餘言
저자
  • 金王奎(韓國敎員大學校 敎授) | 김왕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