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日本漢字學習的傳統與方法 KCI 등재

Traditions and Methods of Learning Hanzi in Japan

일본에서 한자학습의 전통과 방법

  • 언어CHI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549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한자가 日文과 일본 문화에 분명히 깊고도 넓은 영향을 주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조선 반도를 거쳐 일본으로 전래 된 한자는 또한 真名(nama) 이라고 부르는데, 그 형, 음, 의는 기본적으로 고대 중국어 표의문자(ideogram)의 한 계통을 면면히 이어 내려왔다. 한편, 소위 假名(kana)이라는 것은 표음문자(phonetic script)의 한 형태로로 한자의 형태와 음을 빌려 사용하였다. 일본 사람들에게 비교적 익숙한 가명은 平假名(hiragana)과 片假名(katakana)이 있는데, 이는 다른 방식으로 한자의 필획 을 간화시킴으로써 표음하기 쉽게 하였던 것들이다. 여기서 지적할 필요가 있는 것은 한자는 본래 일종의 문자 혹은 부호일 뿐만 아니라, 또한 사고를 담는 그릇 이었다는 사실이다. 전통적으로 일본은 한자를 통하여 詩詞歌賦와 백가경전을 읽 었으며, 현대 일본에서도 한자를 통해 서구 사상을 번역하였다는 것이다. 哲學 이라는 단어를 예로 들면, 이것은 일본 학자 西周(1829-1897)가 만든 번역어인데, 결과적으로 중국, 한국 등지로 들어가 동아시아의 표준 용어가 되었다. 오늘날, 일본 정부의 문부과학성은 상용한자표를 제정하였고, 한자의 쓰는 법과 독음을 규정하였다. 일본 학교의 일문과정은 기본적으로 상용한자표에 근거하며, 학생들로 하여금 이 이천여 개의 상용한자를 익히게 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현장 에서의 언어 학습은 결코 이 법령에 준거하는 것과 같지는 않다. 상용한자는 1923 년 이후에야 출현하였는데, 그 이전에 일본인은 한자를 어떻게 학습하였을까? 본 문은 문학가 夏目漱石(1867-1916)과 철학가 西田幾多郎(1870-1945)의 한자 학 습 경험을 소개하고, 아울러 지금의 한자의 교육과 학습에 대한 초보적인 반성을 해 보려 한다.

無可否認,漢字對日文及日本文化有著極其深遠的影響。經朝鮮半島傳入日本的漢字又稱真名(mana),其形、音、義基本上與古代中國的表意文字(ideogram) 一脈相承;而所謂假名(kana),則借漢字的形與音作為標音文字(phonetic script)。較為人熟悉的假名有平假名(hiragana)與片假名(katakana),它們以不同的方式把漢字的筆劃簡化,以便標音。有必要指出,漢字本來就不僅是一種文字或符號,而且是思考的載體。傳統日本透過漢字引入了詩詞歌賦與百家經典,而現代日本則以漢字翻譯西歐思想。以「哲學」為例,這個由日本學者西周 (1829-1897)所作的譯語,結果回傳至中韓等地,成為了東亞的標準用語。今天,日本政府的文部科學省制定了常用漢字表,規定漢字的寫法與讀音。日本學校的日文課程基本上是根據常用漢字表,讓學生們把握這二千多個常用漢字。然而,學習語言並不等於依循法令。常用漢字在1923年之後才出現,在此以前日本人如何學習漢字?本文將介紹文學家夏目漱石(1867-1916)與哲學家西田幾多郎 (1870-1945)的漢字學習經歷,並對現今的漢字教與學作一些初步的反思。

Undeniably, Han characters have had a far-reaching impact on the Japanese language and culture. Chinese characters, brought to Japan via the Korean Peninsula, were known as ‘mana’ (‘real name’). Their shape, tone and meaning have the same basic roots as ancient Chinese ideographs. The so-called ‘kana’, which borrow from the shape and tone of Han characters, became the phonetic script. Two well known ‘kana’ are ‘Hiragana’ and ‘Katakana’, both of which are simplified versions of Chinese characters. More than simply characters or symbols, Chinese characters are carriers of thoughts and messages. In traditional Japanese, imported poetry, songs and classics reflect Han characters, while in modern Japan Han characters are used to translate ideas and theories from Western Europe. For example, the word ‘philosophy’, translated by the Japanese scholar Nishi Amane (1829-1897), spread to China and Korea and has become the generally accepted translation in East Asia. Today, the Japanese Ministry of Education has developed a database of commonly used Chinese characters which helps define the written form and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Schools in Japan have developed Japanese curricula based on this database, the aim being to help students grasp over 2000 basic Chinese characters. However, learning a language is not simply a matter of following prescribed rules and one might ask; “Given that the database was established in 1923, how did the Japanese learn Han characters before that time?” This paper presents the learning experiences of the novelist, Natsume Sōseki(1867-1916) and a philosopher, Nishida Kitarō (1870-1945), and offers preliminary reflections on the current teaching and learning of Chinese characters.

목차
一、漢字與日本
二、夏目漱石與西田幾多郎
三、一些初部的反思
저자
  • 張政遠(香港中文大學哲學系導師) | 장정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