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글專用體制에서 漢字語表記의 問題 KCI 등재

Problems of rendering Sino-Korean words under the Hangul-only system

한글전용체제에서 한자어표기의 문제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554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국어기본법’에는 한국의 글자는 ‘한글’ 하나이고 漢字는 외국 글자라고 규정하 고 있다. 이런 한글專用體制아래서 漢字語表記가 合理的으로 이루어지고 있 는지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漢字語를 ‘한글’로 적는 表記의 問題點을 살펴보았다. 이 방식에 서는 세 가지 問題點이 드러났다. 첫째, 漢字語를 한글로 적으면 意味把握이 어렵다. 1) 韓國語의 辨別力이 떨 어진다. 2) 讀解速度가 느려진다. 3) 意味를 전혀 알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곧 漢字語固有名詞, 學術用語․專門用語․漢字語略語등이다. 둘째, 漢字語를 한글로 적으면 發音을 正確히 할 수 없다. 1) 現行‘한글맞춤법’ 은 韓國語發音混亂의 主犯이다. 현행 ‘한글’이 한국어 발음을 정확히 적을 수 없기 때문이다. 2) 發音混亂을 막을 수 있는 두 가지 表記方式이 있다. 그 하나 는 ‘한글’을 長短音구별하여 적는 것이다. 다른 방법은 漢字語는 漢字로 적게 하 는 것인데, 最上의 방식이다. 셋째, 漢字語를 한글로 적어서 發生하는 그밖의 副作用들도 많다. 1) 英語등 外國語를 飜譯없이 韓國語안에 불러들인다. 2) 韓國語를 英語로 풀이하는 精神倒錯症的表記가 나타난다. 3) 소리 나는 대로 漢字語를 적는 엉터리 한글 표 기가 나타난다. 제3장에서는 漢字語를 ‘한글(漢字)’로 적는 方式의 問題點을 살펴보았다. 첫째, 두 가지 문자를 竝用해야 한다는 것 자체가 한글專用이 不可能함을 스 스로 인정하는 矛盾的表記다. 둘째, ‘한글(漢字)’은 努力과 空間을 浪費하게 하 는 非經濟的二重表記이다. 셋째, ‘한글(漢字)’은 正確한 意味와 發音을 적기에 는 非效率的인 방식이다. 넷째, ‘한글(漢字)’ 表記에서 빚어지는 副作用들이 많 다. 1) 漢字의 象形性을 使用할 수 없다. 2) 漢字文化圈‘外來語表記’의 歪曲이 벌어진다. 제4장에서는 결론으로 漢字語를 올바르게 적는 表記方式을 살펴보았다. 漢字語표기의 最善策은 漢字로 적는 것이다. 곧 國漢字混用이다. 次善策은 ‘漢字(한 글)’ 방식의 國漢字竝用표기다. 따라서 現行‘國語基本法’은 ‘漢字’도 ‘한글’과 함 께 韓國의 두 글자라고 규정하고 國漢字混用을 하도록 改正해야 한다. 最小限筆者가 國漢字混用과 한글專用중에서 自由롭게 表記方法을 選擇하여 表記하 도록 ‘文字選擇權’이라도 許容해야 마땅할 것이다.

Current ‘Fundamental Law for the Korean Language’ says ‘Hangul,’ or native alphabet of the Korean language is the only Korean and ‘Hanja’, the Korean name for Chinese characters, is foreign language. The author studied this form of rendering Sino-Korean words under the Hangul-only system is appropriate. In chapter 2, this essay focused on the problems of rendering Sino-Korean words only in Hangul, and three problems turned out. First of all, it is difficult to figure out word meaning. Specifically, 1) discrimination of the word is not easy, 2) reading speed becomes slower and 3) in some cases, word meaning cannot be caught at all: proper nouns of Sino-Korean words, scientific or technical terminology and Sino-Korean abbreviations etc. In addition, if Sino-Korean words are spelled only in Hangul, it tends to be mispronounced. 1) Current Korean orthographic system arouses confusion about pronunciation because only in Hangul could not represent proper pronunciation. 2) There are two ways to prevent confusion about pronunciation. One way is to distinguish long vowels from short ones in Hangul writing system, or it is best for Sino-Korean words to be written by means of Hanja. Thirdly, if Sino-Korean words are spelled only in Hangul, it is faced with several problems: 1) bringing about foreign words such as English without translation, 2) explaining Korean words by means of English, which is very awkward, and 3) rendering Chinese character into Hangul according to their pronunciation. In chapter 3, this study examined issues when Hanja is used in parenthesis after the Hangul spelling as a kind of gloss. First of all, it is contradictory that rendering Sino-Korean words into two different forms under the Hangul-only system. Second, it is a duplication which wastes writer’s efforts and space. Thirdly, it is inefficient to grasp exact meaning. Finally, it causes some problems: 1) it blurs pictographic meaning of Hanja, and 2) it leads to make a false representation of foreign words from Chinese cultural sphere. In chapter 4, in conclusion, it is studied how to render Sino-Korean words properly. It is best for Sino-Korean words written by means of Hanja, or writing as ‘Hanja (Hangul)’ would be the second best. Therefore, current Fundamental Law for the Korean Language should be revised to use both ‘Hangul’ and ‘Hanja’ as two official Korean characters. At least, a writer should have a right to choose between writing in mixed script, using both Hangul and Hanja, and only in Hangul.

저자
  • 金昌辰(草堂大學校敎授) | 김창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