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헤미셀룰레이즈 첨가가 자색고구마 식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Hemicellulase on Purple Sweet Potato Brea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594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영양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한국식품영양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Nutrition)
초록

헤미셀룰레이즈를 0.005%, 0.010%, 0.015%, 0.020%를 첨가한 자색고구마 제조한 식빵의 품질 특성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반죽의 pH와 총 산도는 시료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발효 시간에 따른 발효 팽창력은 발효시간이 길어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5), 헤미셀룰레이즈 첨가량에 따른 발효 팽창력은 45분과 60분에서는 헤미셀룰레이즈 0.015% 첨가군이 가장 높았으며, 대조군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식빵의 pH는 대조군보다 헤미셀룰레이즈 첨가군들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p<0.05), 총 산도는 헤미셀룰레이즈 첨가군들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비용적과 굽기 손실률은 헤미셀룰레이즈 첨가군들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수분 함량은 시료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명도는 대조군보다 헤미셀룰레이즈 첨가군들이 유의적으로 낮았고(p<0.05), 적색도는 0.005% 첨가군을 제외하고, 대조군보다 헤미셀룰레이즈 첨가군들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황색도는 헤미셀룰레이즈 첨가군들이 대조군보다 다소 높았다(p<0.05). 견고성과 부서짐성은 헤미셀룰레이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복원성은 0.005% 첨가군을 제외하고, 헤미셀룰레이즈 첨가군들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소비자 기호도 검사는 색과 부드러움은 실험군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p<0.05), 향미는 헤미셀룰레이즈 첨가군들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종합적인 기호도는 헤미셀룰레이즈 0.010% 첨가군이 5.67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이상의 실험에서 헤미셀룰레이즈 0.010% 첨가가 자색고구마 식빵의 부피를 개선하는데 최적 첨가량으로 확인되었다.

In this study, purple sweet potato bread was prepared by the addition of 0.005%, 0.010%, 0.015% and 0.020% hemicellulase. It's effect on product quality and consumer evaluation were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ough pH and total titratable acidit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amples. In the fermentation power of dough expansion, a 0.015% addition sample was the highest between the samples. The bread pH decreased significantly as hemicellulase was increased, whereas. Bread total titratable acid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addition of hemicellulase samp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pecific volume and baking loss than the control sample. The moisture cont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amples. In colors, the lightness of the control sample was the highest, the redness of the 0.020% addition sample was the lowest while the yellowness of the control was the lowest. The hardness and the fracturability decreased significantly as hemicellulase was increased. The resilience indicated reverse effects. In consumer evaluation, the color and softnes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amples. And the hemicellulase addition of samples was higher in flavor than that of the control sample. The overall acceptability was the highest at 5.67 with a 0.010% addition sample.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addition of 0.010% hemicellulase in purple sweet potato bread would be the optimum level.

저자
  • 김연옥(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Yeon-Ok Kim
  • 김문용(밀다원) | Mun-Yong Kim
  • 빙동주(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Dong-Joo Bing
  • 윤은주(동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Eun-Ju Yoon
  • 이영주(전남대학교 영양식품학과) | Young-Ju Lee
  • 전순실(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Soon-Sil Chu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