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코퍼스 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한 학생들의 영어 쓰기 오류 관리 및 피드백 제공 방안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595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강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Research Institute for Humanities Kangnam Universi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실제 원어민 언어 자료인 코퍼스에서 추출한 예시문을 가리키는 ‘콘코던스’와 ‘온라인 사전’의 활용이 쓰기 오류의 수정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며 코퍼스 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한 쓰기 오류 피드백 관리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대표성 있는 표집을 통한 실증적인 통계 자료를 제시하기 보다는 소수의 실험 대상을 통하여 영어 쓰기 오류 지도 및 관리, 그리고 새로운 방식의 오류 피드백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이끌어 내는 데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실험 대상은 서울 소재 A대학교의 1학년 학생 3명이다. 실험 대상 모두 비영어전공의 학생들로 교양영어 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학생들이다. 3명 가운데 2명은 쓰기 능력에서 상위권으로 분류될 수 있는 학생들이며 나머지 1명의 학생은 중위권으로 볼 수 있는 학생이다. 3명 모두 장기간의 영어권 국가의 체류 경험은 없었다.본 연구에서는 실험 대상자로 하여금 동일한 주제에 대하여 A4 한 장 길이의 에세이를 작성하게 하였다. 이후 1주일 간격으로 두 차례 글을 수정하여 제출하게 하였다. 첫 번째 수정은 초안 작성과 마찬가지로 어떠한 참고자료나 피드백 없이 글을 수정하도록 요청하였고 두 번째 수정은 아래 그림과 같이 코퍼스 예시 샘플인 콘코던스와 온라인 사전의 참고가 가능한 Concord Writer v.3.3라는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정하게 하였다. 그 결과 기존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상위권 학생들에게서 콘코던스와 온라인 사전의 참고를 활용하여 에세이를 수정해 보는 것이 오류의 수를 줄이는데 보다 효과적이라는 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코퍼스 프로그램을 통한 오류의 관리나 피드백이 보다 체계적인 교수학습의 방법을 소개함으로써 교육적인 시사점과 추후 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proposes a new way to treat learners' grammatical errors in English writing.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the use of corpus-based skills for providing error feedback. For this purpose, three first-year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wo from an advanced and one from an intermediate level. They were all non- English majors. The students were required to write a short essay of about a page on a given topic. They were then asked to revise their essay and submit it. After their second draft, the students were introduced to a free online dictionary and were trained to use Concordance Writer v. 3.3, which provides concordance lines of the target word or expressions for the writer. The errors that the subjects made were given unique tags; for example, ‘PRE’ represented a preposition error. By analyzing the error-tagged drafts using the RANGE program, we are able count the number of errors among all of the errors or within a particular error type. We are able to find what kind of error was most frequent in a particular draft and what kind error had increased or decreased in drafts by a particular subject over the experiment period. In addition, when we used the concordance AntConc to analyze the drafts, we were able to search for all those contexts related to a particular error type.The analysis using the RANGE program showed that the students’ errors decreased over their rewriting processes.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revealed interesting insights. It was discovered that the intermediate student could not apply Concordance Writer v.3.3 in her writing because of her limited English proficiency. She was usually not able to identify her own errors; and, when she did, she was unable to understand the sample given in Concordance Writer v.3.3 in order to correct her writing. In most cases, she used the online dictionary to look up words. The advanced students, however, found both the concordance lines and the online dictionary useful. This was because they were proficient enough to recognize, check, and thus correct their errors using the two programs. For further research, a study is recommended using a larger number of subjects, generalizing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시사점
저자
  • 신동광(한국교육과정평가원) | Shin Dong Kw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