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β-hexosaminidase 분비 억제 및 각질형성세포 분화에 대한 두충(Eucommia ulmoides Oliver) 추출물의 효과 KCI 등재

Effects of Eucommia ulmoides Oliver Extract on Inhibition of β-hexosaminidase and Keratinocyte Differenti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677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대한화장품학회지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대한화장품학회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초록

본 연구에서는 두충 추출물이 RBL-2H3 세포의 β-hexosaminidase의 분비 억제와 HaCaT keratinocytes피부장벽의 회복과 관련한 filaggrin, transglutaminase-1 (TGase-1), cornified cell envelope(CE)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β-hexosaminidase 방출 억제 능은 13% 효능을 확인하였고, 피부장벽기능의 회복과 관련된 인자들은 발현과 활성의 정도가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판단할 수 있는 CE 측정에서는 두충추출물이 양성대조군보다 더 좋은 효능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따라서 두충 추출물은 β-hexosaminidase 분비 억제에 효과가 있으며, 손상된 피부장벽강화에 영향을 미치는각질형성세포의 분화 촉진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Eucommia ulmoides Oliver extracts was studied in order to see any effects on the β-hexosaminidaserelease suppression of RBL-2H3 cells and on the expression of filaggrin, transglutaminase-1 (TGase-1) andcornified cell envelope (CE) related to the recovery of HaCaT keratinocyte skin barrier. Results showed that Eucommiaulmoides Oliver extracts reduced β-hexosaminidase release in RBL-2H3 cells and increased the effects of Eucommiaulmoides Oliver extract on the expression of filaggrin, transglutaminase-1 (TGase-1) and cornified cell envelope (CE)in HaCaT keratinocyte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Eucommia ulmoides Oliver extract may be applicablefor keratinocyte differentiation.

저자
  • 최신욱( (주)래디안 기업부설연구소) | 최신욱
  • 조기정( (주)소망화장품) | 조기정
  • 장진동( (주)소망화장품) | 장진동
  • 김보현( (주)소망화장품) | 김보현
  • 석지현( (주)래디안 기업부설연구소) | 석지현
  • 김은지( (주)래디안 기업부설연구소) | 김은지
  • 홍인기((주)래디안 기업부설연구소) | In Kee H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