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풍수해보험요율 산정을 위한 수해위험도 적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torm and Flood Risk for Natural Disaster Insurance Rat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833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방재학회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초록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풍수해 피해에 대비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적 방법이 있다. 최근의 기후변화와 함께 도시화가 급속하게 진행됨에 따라 과거로부터 이어지고 있는 하드웨어적 방법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하드웨어적 방법과 소프트웨어적 방법이 병행되어 효율적인 방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소프트웨어적 방법으로는 각종 예·경보체계 구축, 비상대처계획수립, 재해지도작성, 풍수해보험 등의 방법이 존재하며 그 중 풍수해보험은 풍수해에 대한 피해 보상 및 예방을 위하여 소방방재청과 민영보험사가 함께 시행하고 있다. 풍수해보험에서의 보험요율 체계는 위험도를 보험등급으로 구분하고 있으나 개별 보험목적물이 풍수해의 위험에 노출되는 정도를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과거 피해이력만을 근거로 보험요율을 산정함에 따라 시·군·구간의 과도한 보험요율 편차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합리적인 개별 풍수해보험요율 산정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외수침수와 내수침수 위험도를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으로 구분하여 침수심과 피해이력을 통해 수해위험도를 등급화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저자
  • 오국열(특수법인 한국방재협회 방재기술센터 과장) | Oh, Kuk Ryul 교신저자
  • 황신범(한국방재협회 방재관리센터 연구원) | Hwang, Shin Bum
  • 이창희(한국방재협회 방재관리센터 실장) | Lee, Chang Hee
  • 김한태(한국방재협회 방재관리센터 센터장) | Kim, Han Tae
  • 강병화(한국방재협회 회장) | Kang, Byung Hwa
  • 정상만(국립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 Jeong, Sang 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