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 남해 연안 해역에서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의 분포에 따른 멸치 섭이 특성 KCI 등재

Feeding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us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Zooplankton in the Coastal Waters of Souther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854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멸치는 한국 남해에서 가장 많이 어획되는 어류이며, 상업적으로도 중요한 수산 자원 중 하나로써, 이 연구는 한국 남해에 서식하는 멸치의 지역별, 계절별 먹이생물의 차이를 통해 멸치의 주 먹이생물과 섭이 생태를 알고, 이를 통해 멸치의 생태학적 위치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011년 7월부터 2012년 2월까지 한국 남해의 통영, 진도 그리고 여수에서 채집된 멸치의 먹이 생물 분석과 멸치가 채집된 해역에서의 동물플랑크톤군집 구조를 분석하였다. 조사된 멸치의 먹이생물은 조사 해역과 시기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여수와 진도에서 7월에 출현한 멸치의 먹이생물은 따개비 유생의 cyprid기(>35%)와 요각류인 Calanus sinicus (>22%)가 우점하여 나타난 반면, 통영에서는 소형 요각류인 Paracalanus parvus s.l. (41%)와 Corycaeus affinis (22%)가 우점하여 나타났다. 같은 조사기간 동안 각 해역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은 여수에서 지각류인 Evadne tergestina (39%), 진도에서 Paracalanus parvus s.l. (28%)와 통영에서 Evadne tergestina (14%)가 우점하여 나타났다. 계절에 따라 살펴보면, 하계에 우점한 먹이생물은 따개비 유생과 요각류였고, 추계에는 식물플랑크톤과 요각류 Pseudodiaptomus marinus, 동계에는 Paracalanus parvus s.l.와 냉수성 요각류인 Centropages abdominalis가 가장 우점하는 먹이생물로 출현하였다. 계절에 따라 채집된 멸치의 먹이생물 선택성은 하계에 조사해역에서 우점한 지각류인 Evadne tergestina (39%)보다 작게 출현한 Calanus sinicus (3%)의 선택성이 높았고, 추계와 동계에 조사해역에서 우점종이었던 Paracalanus parvus s.l. (30%, 21%)보다 각각 Pseudodiaptomus marinus (0.5%) and Centropages abdominalis (0.9%)를 높게 선택하였다. 한국 남해의 멸치는 서식하고 있는 지역에 따른 동물플랑크톤의 군집 구조의 차이에 따라 먹이생물의 선택성이 달라졌다. 또한, 계절에 따른 플랑크톤의 군집 구조에 따라 먹이생물의 종류와 섭이 형태가 달라졌다. 한국 남해의 멸치는 식물플랑크톤과 동물플랑크톤을 모두 섭이하면서 높은 적응력과 먹이생물에 유연성을 보였다. 이러한 멸치의 먹이 생물 섭이 방식은 공간적 또는 계절적으로 많은 변동이 일어나는 한국 남해 연안 해역에서 생존하는데 필수적인 것으로 보여진다.

The Ja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usis a widespread species in the westernNorth Pacific and major fishery resource. To understand the spatio-temporal variation of anchovyprey items in the coastal waters of southern Korea, the stomach contents of anchovy and thestructure of the zooplankton community were analysed at three sites(Jindo, Yeosu and Tongyeong)from July 2011 to February 2012. The main prey items in Yeosu and Jindo were cyprid stage ofbarnacle(>35%) and copepod Calanus sinicus(>22%) in July, respectively, while, predominantones in Tongyeong were small copepods, Paracalanus parvuss.l.(41%) and Corycaeus affinis(22%). During this period, the dominant zooplankton were cladoceran Evadne tergestina(39%) inYeosu, small copepod, P. parvuss.l.(28%) in Jindo and cladoceran E. tergestina(14%) in Tong-yeong. The dominant prey items were barnacle larvae and copepods in summer, phytoplanktonand Pseudodiaptomus marinusin autumn and P. parvuss.l. and cold water copepod, Centropagesabdominalisin winter. Anchovy prefer the prey item C. sinicus(3%) over E. tergestina(39%),which was a dominant species in the catching site in summer. P. marinus(0.5%) and C. abdominalis(0.9%) were preferred over P. parvuss.l.(30%, 21%) in autumn and winter, respectively. Preyitems varied with area and season in the coastal waters of southern Korea. These results suggestthat the prey selectivity of anchovy showed high flexibility and adaptability in the study waters.

저자
  • 김민정(국립수산과학원 수산해양종합정보과) | Min Jung Kim
  • 윤석현(국립수산과학원 수산해양종합정보과) | Seok Hyun Youn Corresponding author
  • 김진영(국립수산과학원 남서해수산연구소) | Jin-Yeong Kim
  • 오철웅(부경대학교 자원생물학과) | Chul-Woong O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