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원방식에서 보는 한국의 새마을운동과 중국의 신농촌건설

A Study about the Support Way between Korean Saemaul Movement and China’s New Countryside Construc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862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중경제문화연구 (Korea-China Economic & Cultural Review)
한중경제문화학회 (Korea-China Economic & Cultural District Association)
초록

40여 년 간 지속되어 온 한국의 새마을운동이 세계적으로 성공적인 지역사회 개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 새마을운동이 성공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새마을운동 과정에서 효율적인 지원방식을 추진하였던 한국 정부가 있었다. 하지만 2006년부터 시작되었던 중국의 신농촌건설(新農村建設)은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한 채 현재 성진화(城鎭化)정책으로 대체되었다. 그 이는 중국 정부가 비효율적인 재정지원방식을 택하였으며, 그 방식이 농민들의 참여열정을 일으키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원방식 면에서 의 한국의 새마을운동과 중국의 신농촌 건설을 고찰하여 양국 지원방식의 특징 및 문제점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중국 삼농(三農)의 발전을 위한 지원방식의 개선방안으로 경쟁시스템과 재정감독 체제의 구축 및 농민을 위한 전문적 통장의 개설 등을 제시하였다.

Korean Saemaul Movement(新村运动) which has been continuing for more than 40years is a successful case of community development in the world.The most important reason is that the Korean government adopted an effective support way. However, China’s New Countryside Construction(新农村建设)which began in 2006 couldn’t reap a tangible result and was replaced by an Urbanization(城鎭化) policy now. It’s because the Chinese government adopted an inefficient way of financial support and the support way couldn’t raise peasants’ enthusiasm of participation. So in this paper, the support ways of Korean Saemaul Movement and China’s New Countryside Construction were inspected, and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support way were compared and analyzed. On the basis of that, some suggestions for the support way of Chinese Samnong (三農)’s development were indicated. And the suggestions are the establishment of the competition system, the financial regulatory mechanism and special agricultual accounts.

목차
Ⅰ. 머리말
Ⅱ. 한국 새마을운동과 중국 신농촌건설의 지원방식
Ⅲ. 새마을운동과 신농촌건설의 지원방식에 대한 비교분석
Ⅳ. 맺음말: 중국 삼농의 발전을 위한 지원방식의 개선방안
저자
  • 최계련(중국 제로공업대학교 강사, 경제학 박사) | Cui, Guili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