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

        1.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중국 향촌진흥(鄕村振興) 전략은 제도적 틀과 시스템이 구축되고 있다. 지역 적 이해관계, 비효율적인 감독 또는 공무원의 정책 이행 실패 등으로 인해 정책의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연구는 중국 농촌 지역 주민이 한국의 새마 을운동과 글로벌새마을운동에 대한 수용성을 검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UTAUT 모델을 이용하였으며, 10개의 연구 가설을 제시했다. 중국 하남성(河南省)의 마을에 서 374명의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했고, Smart-PL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조사 결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새마을운동(새마을운동 1.0)의 세 가지 정신이 중국 농촌 지역 주민의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았고, 글로벌새마을운동 (새마을운동 2.0)이 새마을운동 1.0보다 더욱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주었다.
        6,000원
        3.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re principles of Korea’s Saemaul Undong, a model of the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for developing countries, may be summarized as adoption of organizational approach considering spiritual enlightenment, pursuit of visible change through practical innovations, villager’s voluntary participation and self-help, and introduction of competition-based incentive system. The contents of the Saemaul Undong project include agricultural production technology transfer and agricultural infrastructure building as well as spiritual enlightenment and living infrastructure improvement. Based on the situational characteristics of Myanmar, some measures to apply Saemaul Undong approach can be proposed as follows. The scope of Saemaul Undong needs to encompass agricultural technology transfer as well as infrastructure building for improving agricultural production and living environment. Saemaul Undong is not a panacea for rural development, but it can be a guide for developing agriculture and rural areas by helping lessen trial and errors. Mind-set change by Saemaul Undong training and group decision making with village leaders and villagers need to be actively applied to Myanmar. Emphases need to be put on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income increase as well as living environment improvement considering unique situations of Myanmar. In addition, income increase measures for landless farmers by livestock raising are required. Empowerment, manpower mobilization and material support need to be flexibly applied to rural villages based on their labor market situation. In developing village leaders, partnership with NGOs needs to be emphasized in suburban areas. Systematic evaluation tools need to be developed for identifying determinants of the success of Saemaul Undong.
        4,000원
        4.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is worth studying the Saemaul Development Undong as a science when it is increasingly gaining a global society interest.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frame the project design matrix(PDM) for the Saemaul development project and to suggest underpinning theoretical background which explains the causal relationship of the logical frame approach of the PDM. This research diagramed the driving process of Saemaul projects which indicates the stages of hierarchical logic structures in terms of inputs-activities-outputs-outcomes and goal of the projects. Then it presented governance theory, bottom-up approach, endogenous development and network theory as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e logic model of Saemaul projects. Expected effect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it will be a basic study to give a standardized criteria to evaluate Saemaul and ODA projects to raise the effectiveness of ODA projects, even though it needs more studies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PDM and to get a generalization of the theory.
        4,000원
        5.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though it has been well known that the Saemaul Undong had a direct relation with the water resources development during 1970’s, its contribution to the water resources and increased income in rural communities has not been thoroughly quantified so far. In order to assess the contribution of the Saemaul Undong in terms of rural water resources development, we investigated various historical data produced by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n relation to water resources development. The results show the direct and indirect contribution of the Saemaul Undong to the water resources development in rural communities such as sewage works, water supply facilities, shared wells, and river works. The results also showed a positive relation between per-house income in rural communities and areas of irrigated paddies, which were rapidly increased during 1970’s. These results can be utilized to transplant the positive aspect of the Saemaul Undong to developing countries focusing on water resources development in rural areas.
        4,000원
        9.
        2016.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많은 개도국에서 농촌발전과 빈곤퇴치의 유용한 방안으로 새마을운동의 경험 전수를 요청받고 있는 상황에서 새마을운동이 “인류 공동의 번영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새로운 농촌개발 패러다임”으로 자리매김 하는데 기여하고자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새마을운동의 기본개념과 특성을 재조명하고 이러한 특성을 합리적,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을 제시하고 글로벌 새마을운동의 기획 및 집행에 적용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시하는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살펴보면 새마을운동의 보편성과 차별성을 지역사회개발과 정책적 관 점에서 살펴보고 새마을운동의 논리구조를 만들어 차별성을 제시하였다. 중국의 대약진운동, 방글라데시 코밀라운동과 새마을운동의 비교를 통해서 그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끝으로 글로벌 새마을운동을 기획하고 집행함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이론적 시사점으로서 상향식 사업추진, 변화의 대리인으로서 새마을지도자 양성, 주민의 역량개발 강화, 맞춤형 새마을 ODA 사업 발굴, 선도기관(pilot agency)과의 파트너십 구축 등을 제시하였다.
        5,100원
        12.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의 종합적인 농촌개발모델로 알려진 새마을운동은 한국의 국가경제 및 농촌지역사회 발전의 토대가 되었고 최근 들어 많은 개도국으로부터 성공모델로써 인정받고 있다. 최근 에디오피아도 한국의 발전경험과 유사한 변혁을 이루고자 노력하고 있다. 1990년대 초반 이후 에디오피아 정부는다양한 전략적인 개발정책을 통해 농업 및 농촌개발을 최우선순위로 실행하여왔다. 지난 10여년간 에디오피아의 농촌개발은 많은 진전이 있었지만, 초기 목표로 하였던 수준은 달성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에디오피아에서는 새마을운동과 같은성공적인 농촌개발모형으로부터 교훈을 얻고자 하는 노력이커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농촌개발 접근방식으로서 새마을운동의 성공요인들을 에디오피아의 현재의 농촌개발과 비교하여 검증하고자한다. 1970년대 한국의 새마을운동의 경험과 현재의 에디오피아 농촌개발정책을 비교시 농업·농촌개발정책의 틀은 매우유사한 것으로 평가된다. 반면, 농촌개발현장에서의 실패사례는새마을운동의 정신을 에디오피아 농촌개발시책으로 적용시 좀더 다각적이고 세심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주고 있다. 특히 본고에서는 새마을운동의 주요 성공요인으로써 농지개혁과 농촌주민의 사회적연대, 강력한 제도개선과 정부의 리더쉽, 그리고 전방위적인 정책지원, 대상마을에 대한 인센티브시책 및 마을간 경쟁유도 등을 들고 있다. 이러한 요소들이에디오피아에 농촌개발전략으로써 종합적이고 유기적으로 실행된다면 한국의 새마을운동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것으로 기대된다.
        4,600원
        14.
        2019.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에서 1970년대에 시작된 새마을운동은 국제적으로 농촌개혁의 하나의 모범으로 여겨진다. 새마을 운동이 성공한 첫 번째 중요한 원인으로는 농촌에 금융 제공을 지원했다는 점이다. 중국공산당의 19차 당 대회에서는 2050년까지 농업강화, 아름다운 농촌건설, 농민의 재산증대를 위한 농촌진흥을 전면적으로 실시하자는 의견이 나왔다. 농촌진흥전략의 성공을 위해서 한국 새마을운동의 성공적인 경험을 참고해 농촌 금융을 지원하는 정책이 룽요하다.
        15.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aemaeul Movement, which is the representative national campaign of Korea aimed at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has drawn a great deal of attention from home and abroad and formed an element of Korea's national brand since 2000. Accordingl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constructing a memorial park in Shindo Village, Cheongdo County, North Kyoungsang Province, which is a home to the Saemaeul Movement. As the Saemaeul Movement is benchmarked by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today, this research aims to communicate the spirit and social value of the movement and disseminate its effects of local community development in rural areas through the construction of a memorial park. In this study, the design motive of the memorial park was conceived through the historical review and case studies of the Saemaeul Movement. In parallel, theoretical study was also conducted on design techniques as the basis of this research.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a technical articl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several phases. In the first phase, the conditions of the site where the park construction was planned were analyzed and the direction of its development was set. In the second phase, the main theme and the basic principles of planning were established, and the contents of the park construction project were devised in detail. In the last phase, a comprehensive plan was established, including a space layout to accommodate activities, facilities and programs to be introduced to the park. The park construction site (106,000m2) was divided into four zones (memorial zone, historical theme park, education zone and experience zone) based on circulation planning aimed at creating memorial space, and was linked to eco-friendly ecological space in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features. At a time when the Saemaeul Movement is being propagated across the world,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help create a place for its memorial and play a pivotal role to boost international movements aimed at promoting co-prosperity across the global village. It will also bear significance as an example of theme-based park construction in a rural area and the invigoration of a local community.
        16.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40여 년 간 지속되어 온 한국의 새마을운동이 세계적으로 성공적인 지역사회 개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 새마을운동이 성공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새마을운동 과정에서 효율적인 지원방식을 추진하였던 한국 정부가 있었다. 하지만 2006년부터 시작되었던 중국의 신농촌건설(新農村建設)은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한 채 현재 성진화(城鎭化)정책으로 대체되었다. 그 이는 중국 정부가 비효율적인 재정지원방식을 택하였으며, 그 방식이 농민들의 참여열정을 일으키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원방식 면에서 의 한국의 새마을운동과 중국의 신농촌 건설을 고찰하여 양국 지원방식의 특징 및 문제점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중국 삼농(三農)의 발전을 위한 지원방식의 개선방안으로 경쟁시스템과 재정감독 체제의 구축 및 농민을 위한 전문적 통장의 개설 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