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though it has been well known that the Saemaul Undong had a direct relation with the water resources development during 1970’s, its contribution to the water resources and increased income in rural communities has not been thoroughly quantified so far. In order to assess the contribution of the Saemaul Undong in terms of rural water resources development, we investigated various historical data produced by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n relation to water resources development. The results show the direct and indirect contribution of the Saemaul Undong to the water resources development in rural communities such as sewage works, water supply facilities, shared wells, and river works. The results also showed a positive relation between per-house income in rural communities and areas of irrigated paddies, which were rapidly increased during 1970’s. These results can be utilized to transplant the positive aspect of the Saemaul Undong to developing countries focusing on water resources development in rural areas.
16세에서 79세사이의 안과적 수술을 받지 않은 남자 32 명, 여자 31 명, 총 63 명 126 안을 대상으로 Keratometer를 사용해서 각막전변의 곡율반정을 측정하고, Refract() meter로 조절마비제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굴절이상을 측정하였다. A-mode Utrasonography로 안축의 길이, 전방의 깊이, 수정체의 두께, 유리체의 깊이 등을 측 정하여 비교한 결과 젊은충(1 6-40 세, 76 안)은 각막곡률반경, 전방의 깊이, 유리제의 깊이, 안축의 길이 등이 노년층 (41-79 세, 50 안)에 비해 크게 나타났으며, 노년층은 수정체의 두께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전방의 깊이, 유리 체의 깊이, 안축의 길이는 감소하는 반면, 수정체의 두께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p<O.O u. 한편 굴절이상과 안광학적 요소와의 상판성을 비교한 결과 AL/CR비가 (-0.90)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안축의 길이( -0.78) , 유리체의 깊이( -0.77), 전방의 깊 이( -0.36), 각막곡률반경(0.29) 순으로 나타났으며, 수정체의 두께는 상관성이 없었다.
측정실 조도 150 lux, 시표면 조도 400 lux 인 상태에서 시표투영기 ACP-7올 사용 하여 나안시력올 측정하였고, 0.1 시력에 미치지 못하는 사람은 거리이동법으로 시력 올 측정하였다. 그리고 해당하는 시표의 반수 이상올 바르게 용답했올 때의 시력율 나안시력으로 기록했다. 조절마비제률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RK-3으로 타각적 굴 절이상올 측정하였으며 vision tester를 이용해서 타각적 굴절이상 측정결과에 +3.00 의 구변렌즈를 부가하여 20분 동안 조절해제시간올 부여한 후 0.25D씩 구면렌즈를 감소시켜 0.50시력에서 방사선시표를 이용해서 난시축과 도수를 검출했으며, 둥가교 차원주렌즈로 난시축과 도수를 세밀하게 조정했다. 완전교정도수는 적록테스트를 이 용하여 적색바탕의 혹륜과 녹색바탕의 혹륜의 선명도가 동일했올 때의 도수로 결정 했다. 상관분석올 실시한 결과, 완전 교정된 상태에서 나안시력과 구면도수와는 0.74(P< 0.001), 원주렌즈도수와는 0.34(P<0.05), 둥가구면도수와는 0.79(P < 0.001) 의 상관성올 보여 구면렌즈의 굴절력이 원주렌즈의 굴절력보다 나안시력에 더 많은 영향올 미침 을 알았다. 회귀분석을 한 결과 나안시력 = (0.01 x 원주렌즈 굴절력)+(O.13X 구연렌즈 굴절력) +0.72( 전체 설명력 0.59, P<0.15) 의 1 차 회귀식을 얻올 수 있었다.
Hexaploid wheat (Triticum aestivum L.) exceeds about 30% of the world’s cereal production and cultivated over 220 million ha worldwide. Heat stress during the grain filling period gives detrimental effect on crop yields and has emerged as a serious problem throughout the world. Korean wheat cultivars that were released since 1960s were developed for various aims such as winter hardness, earliness, and pest resistance, etc. However, heat stress resistance is an emerging target for wheat breeding nowadays. Selected 11 Korean wheat cultivars (“Baegjoong”, “Dajung”, “Goso”, “Hanbaek”, “Jokyung”, “Joeun”, “Jopum”, “Keumgang”, “Olgeuru”, “Sinmichal”, “Uri”) were exposed to high temperature from DAF (days after flowering) 9~13. In this study, plant responses to heat stress as measured by reduction ratios of total chlorophyll contents, 100 seed weight, shoot dry weight can be translated into degree of tolerance. Therefore, these parameters can be used in wheat breeding for heat tolerance during grain filling period. The obtained results allow us to classify cultivars for heat stress tolerance. Pedigree information of Korean cultivars was shown that wheat line of either tolerant, moderate tolerant, or susceptible trait is succeeded to their descendent, which enable breeders to develop heat stress tolerant wheat by appropriate parental choice.
The wheat-rye translocations are world widely used in wheat breeding. Among the various forms of wheat-rye translocation, the 1RS (short arm of rye chromosome 1) translocations are the most widely used because of the valuable genes (e.g. biotic / abiotic resistance genes) introduced from rye. We have developed a new wheat-rye cultivar ‘TRANS’ which have freezing resistance and high yield in this study. ‘TRANS’ is a new wheat-rye translocation cultivar developed by crossing between common wheat ‘Keumkangmil’ and ‘951188-G3-G1’, a 1AL.1RS translocation derived from ‘Fleming’ with the aim of high yield and resistant genes to various unfavorable environments carried by 1RS. ‘TRNAS’ have clearly different genetic and agronomic traits to the control cultivar ‘Keumkangmil’. The heading date and maturity of ‘TRANS’ are later than that of ‘Keumkangmil’. ‘TRANS’ has 1023 spike number per square meters and grain yield of 541 kg/10a, which are higher than ‘Keumkangmil’ (904 spike number/m2 and 504 kg/10a yield). ‘TRANS’ showed winter hardiness and powdery mildew resistance in artificial infection test and field evaluation. ‘TRANS’ gives lower flour yield than ‘Keumkangmil’ but ash and protein content were similar to that of ‘Keumkangmil’. The color of flour and noodle dough of ‘TRANS’ were darker than ‘Keumkangmil’. Quality parameters related to milling, flour quality, noodle dough and end-use quality of ‘TRANS’ indicates that ‘TRANS’ is soft wheat suitable for noodle making. ‘TRANS’ can be cultivated in entire part of Korea. Registration Grant No.: 4695
국산밀을 재배하는 전국 175농가를 대상으로 2년 동안 재배 현황에 대한 자료를 수집· 분석한 결과, 평균 재배 경력과 재배면적은 7.7년과 2.4~3.3 ha였으며, 재배 품종은 금강밀이 주로 재배되었고 조경밀과 백중밀이 남부지역에서 재배 면적이 늘어나고 있다. 파종은 대부분 농가에서 10월 하순에서 11월 상순에 휴립광산파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시비는 2종 복합비료를 이용하여 평균 29.7 kg/10a이상 기비로 시용하였으며, 추비는 2월 하순~3월 상순에 질소비료를 1회 시용하는 농가가 주를 이루었는데, 농가 현장에서 표준시비량에 비해 과량의 비료가 시용되고 있기 때문에 적정 시비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재배 밀의 출수는 기상 영향으로 2011년은 5월 상순, 2012년은 4월 하순에 이루어졌으며, 밀 수확은 대부분 농가에서 6월 중순에 이루진 것으로 나타났다. 재배 면적 확대와 밀 재배 농가 소득 향상을 위하여, 수발아 및 붉은곰팡이병 저항성 증진과 기상이변에 대응할 수 있는 재해저항성 증진 품종 개발이 이루어져야하며, 국산밀 품질 향상을 위한 보급종 생산 및 확대가 필요하며, 지역별 밀 재배 농가의 규모화에 대한 지원과 재배 관리 체계 확립과 현장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
국산밀을 재배하는 전국 175농가를 대상으로 2년 동안 농업형질과 원맥 특성을 조사 한 결과, 간장, 수장, 경수와이형주율은 년차간 차이를 나타내었다. 시비량이 많았던 남부지역에서 재배된 밀의 간장이 중북부 지역 보다 길었으며, 추비시기는 간장에 영향이 없었지만, 3월 중순 이후에늦게 추비를 준 농가의 수장은 다른 농가에 비하여 길었으나 경수는 감소하였다. 추비 횟수는 농업형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형질과 마찬가지로 원맥특성도 연차간 변이가 있었으며, 남부지역에서 재배된 밀은중북부지역에서 재배된 밀에 비하여 천립중이 높았으며, 리터중은 낮았으며, 전라북도는 다른 지역에 비하여 낮은 회분 함량과 높은 단백질 함량을 나타냈으며, 전라남도는 다른 지역에 비하여 높은 회분 함량을 나타내었다. 추비시기가 리터중에는 영향을 주었지만 천립중과 회분 및 단백질함량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추비 횟수도 원맥 특성에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비량에 따라 간장이 증가하고, 천립중과 단백질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수장과 회분함량은 시비량과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단백질 함량은천립중과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지만 회분 함량은 천립중 및리터중과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간장이 증가할수록 천립중은 증가하고 리터중은 감소하였으며, 수장은 천립중과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시비량이 간장 및 원맥 특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품종별 용도에 맞는 밀 품종을 재배하기위해서는 적정 시비기술에 대한 농가 지도가 필요하다. 또한, 국산 밀의 생산성 증진과 품질 향상 및 균일성 확보를위해서는 용도별 가공적성에 적합한 품종에 대한 집단 재배단지를 조성하고 철저한 생산 관리와 체계적인 수확 후 관리 구축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가 있어야 할 것이다.
항산화 효과가 있는 분말용 보릿잎의 생산에 적합한 재배법 연구와 이를 산업화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새강보리 품종을 재료로 하여 N, P, K를 각각 표준시비의 0, 40, 60, 80, 100%로 처리의 변화를 주어 수량, 기본성분과 항산화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보릿잎의 생체중은 표준시비의 N은 80%, P는 100%, K는 60% 시비하였을 때 가장 많았다. 단백질, 수분, 회분의 경우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Chlorophyll과 Carotenoid의 경우에는 질소시비가 증가함에 따라서 그 함량도 같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SOD-liked activity는 표준시비의 N은 60%, P는40%, K는 100% 시비하였을 때 가장 높았고, DPPH (1, 1-diphenyl-2picrylhydrazyl) 의 경우, 표준시비의 N은60%, P는0%, K는 100%를 시비하였을 때 그 함량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항산화 효과의 경우에는 표준시비와 비교하였을 때, N과 P는 적게 시비하였을 때, K는 표준 시비하였을 때 항산화 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