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서울지역 학교급식 식재료의 잔류농약 위해성 평가 KCI 등재 SCOPUS

Monitoring and risk assessment of pesticide in school foodservice products in seoul,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866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초록

학교 급식 식재료로 사용되는 농산물 중 잔류농약의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서울시내 초, 중, 고등학교 110곳에서 316건의 시료를 수거하여 잔류농약을 분석하였다. 185종의 농약에 대해 GC-ECD, GC-NPD, GC-MSD 및 HPLC-UVD를 이용한 다종농약 다성분 분석법으로 잔류농약을 분석하였고, 분석결과 26건의 시료에서 농약이 검출되었고, 취나물과 들깻잎에서 각각 57.1, 55.6%의 높은 검출율을 나타내었다. 농약 성분별 검출빈도는 프로시미돈, 엔도설판, 아족시스트로빈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2종 이상의 농약이 동시에 검출된 것은 3건이었다. 그리고 검출된 시료 중 잔류 허용기준을 초과한 시료는 6건이었으며 시금치, 취나물, 양배추에서 엔도설판, 깻잎에서는 디니코나졸과 카보후란, 고추에서는 에토프로포스가 잔류허용기준치를 초과하여 검출되었다. 위해성 평가결과 들깻잎에서 검출된 카보후란의 hazard index가 3.8%로 가장 높았으며, 다른 농산물들은 모두 2% 미만을 나타내어 위해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따라서 서울지역 학교급식 식재료로 사용되는 농산물은 비교적 안전한 수준으로 농약관리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며, 지속적으로 농약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홍보와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We tested for residual pesticide levels in school foodservice agricultural products in Seoul, Korea from 2010 to 2012. A total of 316 samples of 23 different types of agricultural products were analyzed via gas chromatography-nitrogen phosphate detector (GC-NPD), an electron capture detector (GC-μECD), a mass spectrometry detector (GC-MSD), and 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ultraviolet detector (HPLC-UV). We used multi-analysis methods to analyze 185 different pesticide types. Among the selected agricultural products, residual pesticides were detected in 26 samples (8.2%), of which 6 samples (1.9%) exceeded the Korea Maximum Residue limits (MRLs). We detected pesticide residue in more than 65% of the Chwinamul, while 6 among 9 analyzed samples contained pesticide residue, and 1 sample exceeded the Korea MRLs. Among the 185 kinds of pesticides that we have tested, 18 were detected, while 7 of them were detected more than twice. Data obtained were then used for estimating the potential health risks associated with the exposures to these pesticides. The most critical commodity is carbofuran in the perilla leaves, which has contributed 3.8% to the hazard index (HI).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detected pesticides could not be considered as a serious public health problem. Nevertheless, constant supervision is recommended.

저자
  • 서영호(원광보건대학교 외식조리산업과) | Young-Ho Seo
  • 문광덕(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식품생물산업연구소) | Kwang-Deog Mo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