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에너지 및 단백질 공급 수준에 따른 비유 중기 유산양의 유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Different Dietary Energy and Protein Levels on Milk Production in Saanen Dairy Goats in Mid Lact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914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초록

본 시험은 산양유 생산을 위해 유가사료를 이용하여 유산양의 적정 에너지 및 단백질 공급 수준과 조농비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비유중기 Saanen종 유산양 4두(57.5土10.8 kg BW)를 이용하여 4x4 라틴방각법으로 실시하였다. 대사에너지 공급수준과 단백질 공급수준을 10.59 (T1), 10.14 (T2), 9.45 (T3) 및 8.75 (T4) MJ/kg과 11.90 (T1), 12.73 (T2), 15.19 (T3) 및 16.60% (T4)로 달리하였으며, 조농비율은 49:51 (T1), 59:41 (T2), 74:26 (T3) 및 90:10 (T4)의 네 처리구로 나누었다. 사료 섭취량 및 체중은 모든 처리구 사이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유량은 T3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T2 및 T4구와 비교 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유지방 함량과 생산량은 T4구에서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여 가장 낮았다(p<0.05). 유단백질과 유당 생산량은 T1 (61.29 및 70.95 g/일)과 T3 (60.52 및 75.82 g/일)구에서 T2 (50.49 및 59.64 g/일)와 T4 (52.49 빛 59.82 g/얼)구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유산양의 유생산성을 극대화시커기 위해서 에너지 공급수준은 최소 9 MJ/kg 이상과 단백질 공급수준은 최소 15% 이상을 공급해 주어야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energy and protein levels on milk production in Saanen (Capra hircus) dairy goats fed the diets with the different ratio of forage and concentrate. Four Jactating goats in mid lactation (57.5土10.79kg BW) were used in a 4 x 4 Latin square with 21-d periods. Animals were randomly allocated to one of the four groups; 10.59 MJ ME/kg and 11.90% CP (T1), 10.14 MJ ME/kg and 12.73% CP (T2), 9.45 MJ ME/kg and 15.19% CP (T3), 8.75 MJ ME/kg and 16.60% CP DM (T4). Also ratio of forage to concentrate was 49: 51 (T1), 59: 41 (T2), 74: 26 (T3) and 90: 10 (T4). Intakes of forage and concentrate were linearly increased (p<0.05) with their increasing energy levels in the die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otal dry matter intake and body weight between treatments. Milk yield in T3 was the highest among treatments (p<0.05). Relative to other treatments, T4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the content of milk fat. The yields of milk protein and lactose in T1 (61.29 and 70.95 g/d) and T3 (60.52 and 75.82 g/d)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2 (50.49 and 59.64 g/d) and T4 (52.49 and 59.82 g/d).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minimum dietary level of energy and protein was 9 MJ ME/kg and 15% CP in mid lactation Saanen dairy goats.

저자
  • 박중국(한경대학교 동물생명환경과학부) | Joong Kook Park
  • 김종덕(천안연암대학 산업협력단) | Jong Duk Kim
  • 김지애(한경대학교 동물생명환경과학부) | Ji Ae Kim
  • 유정숙(한경대학교 동물생명환경과학부) | Jung Suk Yoo
  • 배귀석(중앙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Gui Seck Bae
  • 김창현(한경대학교 동물생명환경과학부) | Chang-Hyun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