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字源을 활용한 한자교수학습방법 연구 -고등학교 한문교과서를 중심으로- KCI 등재

活用字源的漢字敎授學習方法硏究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929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10,8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한자의 자형은 소전에서 예서로 이행되면서 급격한 변화를 겪는다. 변화의 큰 특징은 동일한 部件이 結構에 따라 모양을 다르게 쓰거나, 서로 다른 部件인데 같게 쓰며, 하나의 部件인데 두개 이상의 部件이나 필획으로 絶離되거나, 각각 독립된 部件인데 하나의 부건처럼 결합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異字同形인 경우로 ‘奉, 春, 奏, 秦, 泰’의 상부 ‘ ( )’는 소전에서 독립적으로 존재한 서로 다른 部件2개 이상이 隸變에 의해 하나로 결합된 것이다. 同字異形인 경우로 人은 소전에서 어디에 위치하던 모두 ‘ ’로 썼는데 隸變에 의해 ‘亻,人, 卜, , , , ’ 등으로 변화됐다. 信에서는 亻, 企에서는 人, 에서는 卜,色에서는 , 及에서는 , 北에서는 , 監에서는 으로 썼다. 火의 경우도 灼에서는 火, 然에서는 灬, 尉에서는 小, 赤에서는 , 光에서는 으로 그 형체를 달리하여 썼다. 이렇게 異字同形이나, 同字異形의 한자들을 한데 모아 가르치면 효과적인 字源학습이 될 것이다. 字音活用의 字源敎育은 거의 시도되지 않았다. 漢語의 변화발전을 고려한다면 자형보다 자음이 더 중요하다. 왜냐하면 자형보다도 자음이 더 먼저 출현하였고, 자형과 자음은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나무를 가로 세로로 얽어놓은 모양을 그린 ‘冓’가 聲符인 溝, 構, 講, 媾, 遘등은 모두 交合의 뜻을, 손가락이 교차함을 나타낸 叉가 聲符인 杈, 衩, 汊등은 나뉘거나 교차함을, 句가 聲符인 狗, 豿, 駒등은 동물의 새끼를, 鉤, 枸, 軥, 笱, 拘, 痀, 朐등은 구부러진 것을, 古, 曷, 夬가 聲符인 枯, 涸, 姑, 竭, 渴, 決, 玦은 부족하거나 결함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렇게 음과 뜻이 같거나 비슷한 一群의 한자들을 함께 모아 한문교학에 응용하면 효과적인 학습이 될 것이다. 在는 才와 土로 이루어진 형성자이다. 초기 예서에서는 ‘ ’처럼 썼지만 隸變 과정 중에 才가 ‘ ’처럼 변하고, 結構도 좌우결구가 아닌 상하구조와 비슷한 형태로 변하였다. 及은 상부 人과 하부 又로 이루어졌는데 예변과정 중에 상부 人이 ‘ ’로 변한 것이다. 이는 하부에 있는 ‘又’의 첫 번째 획과 연결 書寫하면서 형성된 것이다. 益은 水와 皿을 상하로 결합시켜 그릇 위에 물이 넘치고 있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상부 水는 隸書단계에서 옆으로 뉘어 ‘ ’로 쓰기 시작하였다. 志는 상부 之, 하부 心으로 구성된 형성자이다. 赤은 상부 大, 하부 火로 구성된 회의자이다. 勳은 熏과 力으로 구성됐다. 하지만 書寫시 상부 과 하부 灬로 잘못 쓰는 경우가 있다. 이는 문자구성원리에 맞지 않는다. 한자교육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한문학, 한문교육학의 발전을 위해, 전통문화의 계승과 창조를 위해, 한문과의 외연확대를 위해 한자학은 필수 불가결하다. 한자학의 활성화를 위해 한문교육과에 전공강좌 개설과 임용고사에 한어문자학을 반영해야 한다.

在隸變期漢字的字形急變了. 其變化的特徵如下. 其一, 同一的部件 在不同結構不同書寫, 比如, 人在小篆所有的結構上寫成‘ ’, 然而隸變 過程中寫成‘亻, 人, 卜, , , , ’等六個字形, 在信寫成亻, 在企寫 成人, 在寫成卜, 在色寫成, 在及寫成, 在北寫成, 在監寫成. 火也在灼寫成火, 在然寫成灬, 在尉寫成小, 在赤寫成, 在光寫成. 其二, 不同部件在不同結構同樣書寫. 比如, ‘奉, 春, 奏, 秦, 泰’的上部 部件‘ ( )’是在小篆兩個部件獨立存在的, 然而隸變過程中爲一個部 件. 其三, 一個部件在不同結構變化兩個以上的部件, 或者斷絶兩個筆 劃. 反而兩個部件結合而爲一個部件. 如集合這些異字同形, 或者同字 異形的漢字而敎學漢字, 則我們可以得到有效的漢字學習. 到現在活用字音的字源敎育幾乎沒有了. 按考慮漢語的變化發展, 則字音比字形更重要. 因爲字音比字形更早期出現了. 比如, 從‘冓’得 聲的‘溝, 構, 講, 媾和遘’等都有交合之義, 從‘叉’得聲的‘杈, 衩和汊’等 都有分開和交叉之義, 從句得聲的‘狗, 豿和駒’等都有幼畜之義, 又從 句得聲的‘鉤, 枸, 軥, 笱, 拘, 痀和朐’等都有彎曲之義, 從古得聲的‘枯, 涸和姑’等都有不足之義, 從夬得聲的‘決和玦’都有缺點之義. 如利用這 樣音近義同, 或者音同義近的漢字而敎學漢字, 則我們可以得到有效 的漢字學習. 在是才和土結構的形聲字. 在初期隸書寫成‘ ’, 然而左邊的才隸變 過程中變成‘ ’, 結構也變成上下構造. 及是上部人和下部又結構的, 然而上部人隸變過程中變成‘ ’. 益是水和皿上下結構的. 然而上部水 隸變過程中寫成‘ ’. 志是之和心上下結構的形聲字. 赤是大和火上下 結構的會意字. 勳是熏和力左右結構的形聲字, 最近人們‘勳’這個字寫 成‘ ,’ 就認爲書寫單位‘ ’和‘灬’, 然而這個字構件是‘熏’跟‘力’, 應要 寫成‘勳.’

목차
Ⅰ. 緖論
Ⅱ. 漢字學에 대한 인식과 연구
1. 한자학 연구개황과 수준
2. 한자학에 대한 인식과 태도
Ⅲ. 敎材所見 字源關係진술 분석
1. 六書에 대한 이해
2. 字源의 분석 정황
Ⅳ. 字源을 활용한 한자교수방법
1. 隸變期자형변화의 특징
2. 字形을 이용한 字源학습
3. 字音을 이용한 字源학습
4. 疑難字 分析
Ⅴ. 結語
저자
  • 한연석(인천남고등학교) | 韓延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