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漢文小說 敎授-學習 方法의 原理와 模型 KCI 등재

A model and principle in instruction method of chinese nove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935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1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이 글은 한문소설이 갖는 장르적 특성을 고려하는 가운데, 한문소설교육의 목표, 그리고 교육내용 체계 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고등학교에서 한문소설을 교수학습할 수 있는 모형을 구안하기 위해 학습자들이 한문소설을 읽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문소설을 교수학습할 수 있는 모형들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절차모형과 목표모형을 통합하는 가운데, 한문소설 교수학습 모형을 반응 중심 모형과 가치 탐구 모형을 통해 살펴보고, 이 모형들의 구체적인 적용을 논의하였다. 발견적 경험과 교섭적 경험을 하는 학습자의 한문소설 읽기 과정은 소설에 대한 이해와 해석, 반응의 정도에 따라 ‘발견적 읽기’, ‘해석적 읽기’, ‘구성적 읽기’로 세분화될 수 있다. 이 과정들은 학습자가 텍스트와의 소통을 통해 문학적 의미를 구성해 가는 과정을 나타낸다. 이 과정들을 고려한 한문소설 교수학습 모형들은 학습자가 소설 텍스트의 심미성을 의미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자기 이해를 도모하는 한문소설교육의 지향점과 맥을 같이한다. 반응 중심 모형은 ‘반응 준비하기’, ‘반응 형성하기’, ‘반응 명료화하기’, ‘반응 심화하기’ 등으로 설계될 수 있고, 가치 탐구 모형은 ‘가치 확인하기’, ‘가치 분석하기’, ‘가치 선택하기’, ‘내면화하기’ 등으로 설계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d the aim of chinese novel teaching and the contents system of chinese novel teaching, considering genre property of chinese novel. And this paper examined the process of a learner's reading in chinese novel for designing instruction model in chinese novel teaching, examined chinese novel instruction model. For these, this paper examined chinese novel instruction model through response-oriented model and value-research model uniting procedure-model and aim-model, examined concrete application of these models. A learner's chinese novel reading process doing discovering experience and negotiating experience divided 'discovering reading', 'interpreting reading', 'formative reading'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mprehension, interpretation response about chinese novel text. These processes revealed the process of the learner's literary meaning formation through communication with a learner and the text. Chinese novel instruction models considering these processes share pointing point with the beauty of the novel text, makes a learner self comprehension. The response-oriented model was designed 'response preparing', 'response forming', 'response plaining', 'response deepening', the value-research model was designed 'value confirming', 'value analyzing', 'value selecting', 'interiorizing'.

목차
1. 서론
2. 한문소설 교육의 성격과 목표
3. 한문소설의 장르적 특성과 교수 · 학습 모형
4. 한문소설 교수 · 학습 관련 변인
5. 한문소설 읽기 과정과 교수 · 학습의 원리
6. 이해와 표현올 위한 한문 소설 교수 · 학습 모형
7. 결론
저자
  • 선주원(광주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 Seon Ju 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