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한문소설이 갖는 장르적 특성을 고려하는 가운데, 한문소설교육의 목표, 그리고 교육내용 체계 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고등학교에서 한문소설을 교수학습할 수 있는 모형을 구안하기 위해 학습자들이 한문소설을 읽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문소설을 교수학습할 수 있는 모형들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절차모형과 목표모형을 통합하는 가운데, 한문소설 교수학습 모형을 반응 중심 모형과 가치 탐구 모형을 통해 살펴보고, 이 모형들의 구체적인 적용을 논의하였다. 발견적 경험과 교섭적 경험을 하는 학습자의 한문소설 읽기 과정은 소설에 대한 이해와 해석, 반응의 정도에 따라 ‘발견적 읽기’, ‘해석적 읽기’, ‘구성적 읽기’로 세분화될 수 있다. 이 과정들은 학습자가 텍스트와의 소통을 통해 문학적 의미를 구성해 가는 과정을 나타낸다. 이 과정들을 고려한 한문소설 교수학습 모형들은 학습자가 소설 텍스트의 심미성을 의미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자기 이해를 도모하는 한문소설교육의 지향점과 맥을 같이한다. 반응 중심 모형은 ‘반응 준비하기’, ‘반응 형성하기’, ‘반응 명료화하기’, ‘반응 심화하기’ 등으로 설계될 수 있고, 가치 탐구 모형은 ‘가치 확인하기’, ‘가치 분석하기’, ‘가치 선택하기’, ‘내면화하기’ 등으로 설계될 수 있다.
오늘날의 다양한 교육환경 속에서 교사의 역할과 책임은 날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많은 학자들이 교사의 교육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교사효능감을 꼽고 있다. 따라서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환경 요인을 조사하여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은 컴퓨터 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교사 1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직무환경을 물리적 환경, 수업외 환경, 구조적 환경은 컴퓨터 교사의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혀졌으며, 이 중 행정체제의 운영 과정과 교직원간의 의사소통의 질, 직무 수행 중에 허용되는 자율성의 정도 등에 대해 교사가 지각하고 있는 정도를 의미하는 구조적 환경이 교사효능감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컴퓨터 교사의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컴퓨터 교사의 효율적인 교육활동을 위한 근무 여건을 개선하고, 학교관리자와 교사간의 우호적 관계를 형성하며, 교사의 의견이 자유롭게 반영될 수 있도록 유연한 직무환경을 마련하는 것에 큰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학습독자의 서사 읽기에 관여하는 담론적 장치로서 알레고리에 주목하여, 알레고리의 구현 원리와 효과를 밝혔다. 또한 이러한 알레고리 읽기가 서사교육에 갖는 의의를 논의하였다.
알레고리가 학습독자에게 작용하는 원리는 첫째, 말해진 것을 통해 말해진 것이 전부 혹은 진실이 아니라는 것을 인식하게 하여, 말해지지 않은 부분을 추론할 수 있게 한다. 둘째, 말해지지 않은 것의 의미를 해석하고 자기화는 과정을 통해 학습독자가 자신을 성찰하는 메타적 인식을 할 수 있게 한다.
학습독자의 알레고리 읽기 과정은 알레고리의 구현 양상을 탐색하고, 그 의미를 이해하는 발견적 읽기에서 시작된다. 그리고 학습독자의 알레고리 읽기는 자신의 가치와 세계관을 성찰하고 재구성하며, 텍스트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생산하는 비평적 읽기를 지향한다. 또한 학습독자는 알레고리에 대한 이해와 해석을 통해 말해진 것이 아닌 말해지지 않은 삶의 비밀과 다성성을 탐색하여, 자신의 삶을 성찰하고 새로운 삶을 설계하는 구성적 읽기를 수행한다.
학습독자의 알레고리 읽기 체험이 서사교육에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담론적 장치로서 알레고리는 서사 텍스트를 보다 다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둘째, 알레고리는 숨겨진, 말해지지 않은 삶의 보편적 진실에 대한 심화된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셋째, 알레고리에 의해 구현된 말해지지 않은 진실을 이해하기 위해 학습독자는 알레고리의 환유적 구현 원리를 인식하게 된다. 넷째, 알레고리는 학습독자가 말해진 것을 통해 말해지지 않은 것을 비판할 수 있게 한다. 다섯째, 담론적 장치로서 알레고리에 대한 이해는 학습독자의 문학 읽기 경험을 확장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