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사무엘 베케트의 『막판』에 나타난 종말론적 비전으로서의 파루시아 KCI 등재

The Eschatological Vision of Parousia in Samuel Beckett’s Endgam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967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300원
문학과 종교 (Literature and Religion)
한국문학과종교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Literature and Religion)
초록

서구문학사에 있어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인해, 사무엘 베케트의 『막판』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작품 속에서의 풍부한 성경적 인유의 의미를 간과해온 측면이 있고, 주로 현대사회에서의 인간실존에 대한 부조리성이나 혹은 현대인의 삶에 대한 풍자적 관점만을 다루어져온 측면이 있다. 고등 문학비평 이론의 홍수 속에 “문학과 종교” 연구가들이 작품 속의 종교적 의미를 밝혀냄에 있어 위축된 측면이 있었지만, 디오도 아도르노, 질 들뢰즈, 알랭바디우 등과 같은 신마르크스주의자들은 “부정성,” “리좀,” “유적인 것” 등의 개념을 통하여 베케트 작품에 대한 새로운 읽기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따라서 베케트 작품에 나오는 “부정적 특질”이 항상 부정적인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베케트의 특별한 글쓰기의 전략임을 알 필요가 있다. 『막판』에서 보이는 “부정적 특질”은 풍부한 성경적 인유에 의해 제시되는 종말론적 비전으로서의 파루시아에 대한 가능성을 조명하고 있는 것이다.

Dominated by Modernism and Postmodernism in the history of Western literature, a large number of studies on Samuel Beckett’s Endgame have mainly focused on either the absurd mode of human existence in modern world or the sarcastic aspects of modern lives disregarding the enrichment of Biblical allusions in the work. Even though researchers of “literature and religion” have hesitated to figure out some religious meanings of literary works overpowered by “High Theory,” such literary critics of Neo-Marxism as Theodore W. Adorno, Gilles Deleuze, and Alain Badiou have demonstrated new interpretations on Beckett’s literary world based on their ideas of “negativity,” “rhizome,” and “le generigue.” Therefore, it is strongly needed to recognize Beckett’s strategy of using “negative traits” which do not necessarily mean negative meanings all the time. “Negative traits” in Endgame illumine the possibility of the eschatological vision of parousia propelled by the enrichment of Biblical allusions.

저자
  • 김용성(Professor of English at Sahmyook University) | KIM Yong-S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