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고 우수한 디자인 특성을 갖는 기능성 식물용기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개발된 기능성 식물용기를 상품화하기 위해 소비자의 디자인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제 주거환경에서 시제품을 사용한 후 선호도와 디자인을 평가하였다. 시제품은 스탠드형과 걸이형 2가지 형태로 제작하였다. 먼저, 372명을 대상으로 두 가지 형태의 기능성 식물용기에 대한 경관선호도와 디자인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다음으로 38명을 대상으로 실내환경에서 한 달간 사용 후 선호도와 디자인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도구는 경관형용사쌍을 이용한 SD scale을 사용하여 요인분석을 하였으며, 디자인 평가는 한국디자인진흥원(2010)에 제작된 굿디자인(GD) 척도를 사용하였다. 식물화분에 대한 기본인식에 대한 조사 결과, 일반화분(2%) 보다 디자인화분(47%), 특수화분(36%), 기능성화분을(15%)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식물용기에 대한 소비 욕구가 디자인과 기능성에 따라 좌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경관선호도 요인분석 결과, 본 연구의 기능성 식물용기는 심미성, 장식성, 선호성, 공간성, 편안함의 5개의 요인으로 유형화 되었으며, 두 가지 형태 모두 주거공간에 적합하고 아름다운 디자인과 편안함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디자인 평가 결과, 스탠드형이 걸이형에 비해 경제성을 제외한 적합성, 합목적성, 만족성, 사용성, 제품성, 심미성 등 6 항목에서 유의하게 높은 평가를 받았다. 구매의사도 스탠드형이 높게 나타났다. 사용 후 디자인 평가 결과, 스탠드형이 걸이형 보다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스탠드형의 기능성 식물용기는 협소한 장소에 수직적 공간의 활용도를 높여주며, 주거환경에서도 식물을 잘 기르고 감상할 수 있는 디자인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attempted to develop a functional plant pot that increases space efficiency and has an excellent design. In order to commercialize the functional plant pot, a customer design preference survey was conducted. The prototype product was made into two types, standing and hanging. First, an overall design preference survey was conducted. 372 people evaluated the designs of the product and chose a preferred design between the two. Then, 38 people used the product in indoor environment for a month to evaluate the design in real life. Design preference assessment was conducted using the semantic differential scale with adjective pairs of landscape. The good-design scale made by Korea Institute of Design Promotion was used for the design evaluation. The survey on the basic awareness of the plant pots showed that plant pots are preferred in the order of design pots (47%), special pots (36%), functional pots (15%), and regular pots (2%). This shows that the desire of consumption towards plant pots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design and function.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re are five factors of the functional plant pot: aesthetic, fanciness, preference, spatiality, and comfort. Also, both types of plant pots proved to be appropriate for the living environment, providing comfort and aesthetic design. In addition, the design evaluation showed that the standing type was superior to the hanging type in suitability, purposiveness, satisfaction, usability, production, aesthetical satisfaction, but not in economic factors. The desire of consumption was also higher for the standing type plant pots. Overall, the real application and design evaluation conducted after the 1 month of using the plant pots, the standing type proved to be superior in quality. Therefore, we may conclude that the standing type functional plant pot developed through this research is a design that can increase the special efficiency of vertical spaces in confined areas while being aesthetically pleasing to grow a plant in a residential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