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도심공원 이용자의 도시농업 관련 활동 선호도 및 요구도 분석 KCI 등재

Preference and Needs of Users in Urban Park for Activities Related to Urban Agricultu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974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서울 소재의 도심공원을 대상으로 이용자들의 일반적인 이용행태와 도시농업 관련 체험에 대한 선호 및 요구를 분석하여 도심공원에 적용 가능한 도시농업 체험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수립하고자 수행하였다. 이용자들의 도심공원 이용 목적은 산책, 동반자는 가족이나 친지, 공원을 이용하는 계절은 가을, 이용시간은 오후 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도심공원 내 도시농업 관련 체험프로그램의 도입과 관련한 내용에서 도시농업 체험 활동별 필요성에서는 채소수확이 가장 유의하게 높았고, 그 필요성이 가장 낮게 응답한 항목은 화학비료 이용하기였다. 체험활동 유형에 대한 선호도 조사에서는 감성체험이 관계체험과 비교하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체험 내에서는 재미있고, 마음이 편안해지는 체험을 프로그램의 차별성을 느끼는 것보다 유의하게 높게 요구하였다. 인지체험 내에서는 전문지식 및 기술을 습득하는 것보다 식물에 대한 관찰력 및 주의력이 증진되는 체험을 유의하게 높게 원하였다. 도시농업 체험프로그램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연령층은 ‘만 13세 미만의 어린이’,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 적정 운영 계절은 ‘봄’, 요일은 ‘주말’, 운영시간은 ‘오후’가 유의하게 높았다. 도시농업 프로그램을 운영할 주체로 ‘전문가’가 필요하며, 도시농업 체험프로그램을 통하여 예상하는 효과로는 ‘정서 및 교육적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ablish the basis of the development of urban agricultural experience programs that will be applied to urban park. A survey was conducted and analyzed to find out how, when, and why the general users visit urban park and what the general users of park prefer and want from programs related to urban agriculture activities. The analysi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users mostly visited urban park to rest with family or relatives in autumn afternoon hours. In urban agricultural activities which they want to be introduced to the urban park, the result showed that users wanted ‘vegetable harvest’ the most highly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 demand of ‘using of chemical fertilizer’ was low. In the preference survey to the type of urban agricultural activities, users preferred emotional experience than relationship experience, which was significantly high. Users demanded an interesting program significantly higher than soothing program as the emotional experience. And users demanded to improve an observation and attention of plants significantly higher than to acquire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as the cognitive experience. To be considered for the development of urban agricultural experience program, were significantly high that children under 13 years of age, programs for families, the spring season, weekend, and afternoon hours. In addition, the analysis showed significantly high that users needed experts as the program administrator and expect emotional and educational effects through urban agriculture programs.

저자
  • 정순진(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연구팀) | Sun Jin Jeong
  • 이상미(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연구팀) | Sangmi Lee Corresponding author
  • 문지혜(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연구팀) | Ji Hye Moon
  • 이예지(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연구팀) | Ye-jee Lee
  • 송윤진(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연구팀) | Yun Jin S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