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설문조사에 의한 숲길 경관과 임목밀도 선호도 KCI 등재

Preference for Landscape and Tree Density of Forest Trail by Questionnaire Surve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975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숲길 경관과 숲길 가장자리 임목밀도에 대한 대중의 관념적, 시각적 선호도를 조사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관념적 조사로 행해진 숲길 경관 선호도의 경우, 울창하고 아늑하고 좁은 숲길을 울창하고 밝고 넓은 숲길보다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곡선으로 구불구불한 숲길이 직선으로 곧게 뻗은 숲길보다, 포장되지 않은 숲길이 포장된 숲길보다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숲길 가장자리 수종 구성과 관련하여 침엽수와 활엽수가 섞여 있는 숲길의 선호도가 침엽수, 활엽수로 조성된 숲길보다 높게 나타났다. 자연 그대로의 숲길을 길가에 꽃나무나 풀꽃 등을 심어놓은 숲길보다 더 선호했고, 숲 길가를 자연 그대로 살려 둔 숲길의 선호도가 풀깎기 등으로 잘 정리된 숲길보다 높게 나타났다. 숲길 가장자리의 잣나무림의 흉고직경별 입목간격에 따른 모습을 모델링하여 시각적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일반소경재(D<25)에 해당하는 흉고직경 24(cm)의 경우, 2∼5(m) 범위의 입목간격에서 3m, 우량중경재(25≤D<40)에 해당하는 흉고직경 35(cm)의 경우, 3∼6(m) 범위의 입목간격에서 4m, 우량대경재(40≤D)에 속하는 흉고직경 45(cm)의 경우 4∼7(m) 범위의 입목간격에서 5m의 경관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현재 치유의 숲 조성 정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는 반면, 치유의 숲 조성을 위한 산림경관의 조성 및 관리에 대한 연구와 체계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치유의 숲 조성정책에 부응하여 경관의 시각적 질 향상을 통해 치유효과를 높이기 위한 산림경관관리의 기초자료로써 활용을 기대한다. 한편, 본 연구결과는 방문객이 기대하고 요구하는 숲길 경관의 이미지 파악은 가능하나, 가상의 풍경이나 응답자의 관념적 선호도에 기반하여 도출된 것이므로 실제 산림현장에 대한 반응과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향후 풍부한 현장감을 통해 경관반응을 도출할 수 있는 후속 연구와 더불어 선호도 파악에서 나아가 선호 경관이 실제 인체의 생리적 반응과도 일치하는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한 바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deal and visual preference of forest trail landscape and tree density in edge of forest trail by conducting questionnaire survey. The survey on the ideal preference of forest trail landscape was conducted by using just questions without any visual materials such as photos, pictures. And the survey on the visual preference of tree density in edge of forest trail was conducted by using images modeled by SketchUp 3D modeling progra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case of survey on the ideal preference of forest trail landscape, curved forest trail was preferred over straight forest trail. And thick, snug and narrow trail was preferred over thick, bright and wide trail. Preferred unpaved trail and trail with the natural edge rather than cleaned edge or planted flowers. Also, trail edges with mixed stand was preferred over with conifers or hardwoods. In the case of visual preference for tree distance(m) by DBH(cm, D) of simulated Pinus koraiensis stands, 3m(range of 2∼5m) at D<25, 4m(range of 3∼6m) at 25≤D<40 and 5m(range of 4∼7m) at 40≤D were preferred.

저자
  • 이연희(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 Yeon Hee Lee Corresponding author
  • 김기원(국민대학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 Ki Weon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