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의 유형분류 및 평가지표 개선 KCI 등재

Improvement of Classification and Assessing Measurement for Target Projects unde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979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환경영향평가서 작성시 사업특성과 지역성이 고려되지 않으므로 인한 획일적인 내용과 현장여건이 미반영된 저감방안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광주․전남권에서 진행된 25개 환경영향평가서를 대상으로 환경영향인자, 저감방안 등에 대해 사업분류별로 분석하고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개발사업으로 인한 환경영향은 대상지 뿐만 아니라 주변지역의 특성에 따라 영향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환경영향인자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대상지 및 주변지역의 토지이용형태와 지형경사를 기준으로 유형을 분류하였다. 토지이용형태에 대해서는 도시지역, 산지지역, 수변지역, 전원지역으로 세분하였으며 지형경사는 평탄지, 경사지, 혼합지(평탄+경사지)로 세분하였다. 저감방안에 대해서는 각 유형별 특성에 맞는 내용을 제안함으로 인해 기존의 사업별 분류에서 나타나는 단점인 대상지역과 주변과의 연계성을 강화하여 개발사업으로 인한 영향을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에 대해서 유형분류 방법과 각 유형별 저감방안에 대하여 평가지표 개선에 대해서 제안하였으나 기존 유사연구가 빈약하고 연구대상 및 기간이 전남․광주권역, 5년으로 한정되어 있어 앞으로 다양하고 많은 사업을 대상으로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평가지표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 such as reduction measures that did not reflect the field conditions and uniform contents as project characteristics and regionality were not considered when writing the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we analyzed the environment impact factors and reduction measures of each project classification, shown in 25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for Gwangju and Jeonnam regions, and also conducted a survey with professionals. The environment impact of development projects can be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not only the target areas, but also characteristics of surrounding areas. Based on such results, this study classified its type on the basis of target areas, and the type of land use and topographic slope of surrounding areas that would have lots of influence on environment impact factors. The type of land use was divided into urban area, mountain area, waterside area and rural area while the topographic slope is divided into dead level, slope topography and mixed topography(dead level+slope topography). Regarding reduction measures, it would be possible to actively cope with the influence of development projects by strengthen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target areas and surroundings through suggesting the contents suitable for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Though this study suggested the improvement of the evaluation index regarding reduction measures of each type, and a classification method of the target projects of environment impact evaluation, we have insufficient existing similar researches which are even limited to Jeonnam & Gwangju regions for five years. It would be necessary to discuss more various projects and also to have additional researches on evaluation index in the future.

저자
  • 장은주((주)백산기술단 환경팀) | Eun-Ju Jang
  • 김강석(전남대학교 토목공학과) | Kang-Suk Kim
  • 김은일(전남대학교 조경학과) | Eun-Il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