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창의·인성교육 요소와 사고기법을 도입한 원예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선호도 분석 KCI 등재

Development of Horticultur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Elements and Thinking Method and Preference Analys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980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창의 ․ 인성 교육 목표에 적합한 원예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를 통해 창의․인성 교육의 목적과 요소를 분석하고 창의적 사고기법을 연구하고 교수·학습안을 구성하여 학교교육용 원예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원예교육 프로그램에 대하여 교사들에게 프로그램에 대한 적합성 및 선호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검증을 받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게 된 결론을 종합해 볼 때, 개발된 원예교육 프로그램은 창의․인성 교육이 추구하는 덕목들과 부합하는 교육적 요소와 관련 사고기법을 활용한 교수·학습안으로 다수 개발할 수 있었으며 이들은 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인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고려되었다. 또한 설문결과를 살펴 볼 때 교사들에게 원예교육 프로그램은 창의·인성교육 용으로서 높은 적합성과 개발된 활동 전반에 대한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인구통계학적 특성별로 원예교육 프로그램 선호도를 알아본 결과 연령별로는 창의성 요소에 대한 선호도는 전 영역에서 높은 편이었으며 이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도 주생활을 제외한 의.식 영역에서 연령별 차이가 유의미함을 알 수 있었다. 영역별로는 대부분 주생활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이 창의성 선호도가 높았으며 인성영역에서는 연령별로 전 영역에 걸쳐 비교적 고른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향후 원예교육을 위한 교육기회의 증대, 관련 자료 및 교육현장시설의 문제 및 차시부족 등은 문제점으로 고려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cological horticulture program for practical classroom implementation under grand theme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To achieve this aim, the purpose and elements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were analysed through reference study. Then, ecological horticulture program was designed based on the creative thinking related researches. The program was verified for its suitability and preference by classroom teachers via survey. Synthesizing 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designed ecological horticulture program enhances student’s creativity and personality development and also adequate for practical use in school as a part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curriculum. However, those practical obstacles like the deficiency of horticulture related materials and tools in some schools and the lack of teacher capacity must be solved for future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and horticultural activity within school. Proper future studies in relation to this research would be helpful to build up students creativity and character which this society calls on.

저자
  • 곽혜란(서울교육대학교) | Hyeran Kwack Corresponding author
  • 장유진(서울교육대학교) | Eujean Jang
  • 지혜리(서울교육대학교) | Hyeree J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