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小說에 대한 兪晩柱의 입장에 관한 一考察 – 批評家的 面貌를 中心으로 - KCI 등재

Consideration about You, Man Ju 's viewpoints about Novel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993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9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兪晚柱(1755-1788)는 널리 알려진 인물이 아니다. 다만 18세기 당시 文名을 떨쳤던 著庵 兪漢雋(1732-1811)의 아들이라는 점이 우리가 그를 기억하는 단서일 뿐이다. 그러나 그는 『欽英』이라는 일기를 남겨서 최근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홈영』은 유만주가 21세 때부터 33세 때까지 13년 동안 기록한 日記이다. 그러나 단순한 생활일기의 차원을 넘어선 ‘독서일기’이다. 유만주는 우리나라 문장은 물론 중국 문인의 서적을 두루 읽은 듯한데, 특히 小說이나 雜記에 대해서는 그 읽은 양이 방대할 뿐만 아니라, 그것에 대한 기록 또한 다채롭다. 본고에서는 ‘유만주가 소설에 대해 어떤 입장을 가졌으며, 중국 소설은 어떻게 받아들였고, 우리의 국문소설에 대해서는 어떠한 견해를 가지고 있었는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기존의 논문에서 제시한 견해 중 유만주의 소설에 대한 입장, 즉 흥미위주의 오락적 측면을 강조했다는 견해와 유만주의 국문소설에 대한 입장이 모순적이라는 견해에 대해 이견이 있어, 이에 대해 살피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음을 밝혀 둔다. 유만주는 소설에 대해 대단히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다. 현실반영적 성격과 소설이 현실 생활과 접촉하는 측면이 어느 장르보다 넓다는 것을 인식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단순히 재미위주의 오락성 때문이 아니라 책읽기의 법도를 만들어 보다 전문적인 책읽기를 추구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그는 단순한 소설의 독자이기보다는 그 이상의 비평적 안목으로 소설을 대하는 입장에 있었다고 하겠다. 비평가적 입장에서 유만주의 소설 비평 양상은 다음의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는 자신의 느낌을 진솔하게 기술하는 방법, 둘째는 감명 깊은 대목을 그대로 기록해 두는 경우가 그것이다. 그가 소설을 평가할 때 특히 내용적 면과 문체적 면에 중점을 두었다. 즉 인정물태를 극진히 표현한다는 소설의 현실반영적 성격을 중시하였고, 소설 문체가 자세하고 생동감 있으며, 인생의 곡절을 극진히 표현하는 점에서 크게 긍정하고 있다. 특히 국문소설에 관한 인식은 일변 모순적일 면도 없지 않지만 이는 중국 소설과의 수준의 차이를 인식한 데서 오는 문제이다. 그러므로 한편으로는 우리의 것을 인정하면서 볼만한 것은 보아야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것은 모조리 불태워 없애야 한다고까지 말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유만주의 소설을 대하는 입장이나, 국문소설에 대한 모순적이라는 치우친 평가는 그가 소설을 단순한 독자 이상의 비평가적 입장에서 다루었기 때문이라고 하겠다.

You, Man Ju is not a well-known person. The fact that he is the son of Joe-Am You, Han Jun who had literary frame in 18th century is only a clue for us to remember him. However, he had a diary called by [Hum Young] so recently he is noticeable in academic world. [Hum Young] is a diary that You, Man Ju had written from 21 age to 33 age for 13 years. However it is not just a diary but “ The Diary of Reading”. It seems that You, Man Ju had read not only Korean literary men’s books but also Chinese literary men’s books. Especially, the quantity that he read about novels and miscellanies is extensive and the records are also variable. I would have a research in this paper about ‘What kind of position You, Man Ju had, how he accept Chinese novels and what kind of point of view he had’. Especially, there are different opinions about You, Man Ju’s novel, that is view that he emphasized entertaining sides and You Man Ju’s viewpoints about Korean novels are contradictory. So, I mention I have a focus on observation about this. You, Man Ju had a very positive recognition about novels. The reason is that he had recognized a novel has broadest sides that contact real lives than any other genres. However, he had tried to persue special reading by making a regulation of reading, not for entertainment just for fun. Therefore he was not just a reader of novels but he had a position that he faced novels with critical insights. I could summarize You, Man Ju’s novel criticism aspects as the following two types. First, the way to desciribe his own feelings honestly. Second, the cases that he wrote impressive parts in the same way as before. When he evaluated novels, he had a focus on especially the aspects of contents and literary styles. Namely, he attached importance to novel characteristics of reality reflections which express actual human life honestly. His writing style of novels is detailed and active. The writing style also expressed complications of life in detail. Although his said that we can accept good things from China as we acknowledge our things but we should burn all things that are not beneficial. In conclusion, the viewpoints about You, Man Ju’s novels or the inclined evaluations that his criticism about Korean novels is incompatible come from the fact that he dealt with novels in the position of a critic, not as just a reader.

목차
I. 서론 II. 소설에 대한 비평가적 입장
III. 소설 비평의 양상 
1. 느낌 위주의 인상비평 
2. 원문 인용을 통한 간접 비평
lV. 소설 비평의 기준
1. 내용적 측면: 삶의 투영성 중시
2. 문체적 측면: 곡진한 묘사 중시
V. 국문 소설에 대한 비평적 태도
VI. 결론
저자
  • 權政援(釜山大學校) | Kwon, Jung-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