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의사소통적 한국어 교재 분석

The Analysis of Communicative Korean Textbook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067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어문화교육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한국어문화교육학회 (The Society for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초록

이 글에서는 먼저 출판된 네 종류의 한국어 교재 집필원리를 살펴봄으로써 그 교재들이 의사소통적인 방향으로 집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교재의 실제 구성을 분석함으로써 집필원리에 맞는 교재가 설계되었는 지 살펴본 결과 실제 교재는 집필원리에서 추구하는 방향과는 다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집필원리에 맞도록 다음과 같은 교재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제시되는 본문이 다양하게 제공되고 실생활이나 사회문화적 맥락과 맞닿아 있어야 한다. 본 단원에서 문법 학습이 꼭 상세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생각을 버려야 할 것이고, 또한 구조 중심의 배열 방식에서 벗어나야 할 것이다. 덧붙여 학습자들의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는 다양한 시도가 교재 내에 구현되어야 할 것이고 교재는 실제적 자료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어 교실에서 진정한 의사소통적 수업이 가능하도록 교재에 대한 개선작업이 계속되어야 하겠다.

In this paper, the writing principle of Korean textbooks has been checked up and this work confirmed the books' communicative orientation. However, Korean textbooks' virtual design has been proved not to coincide with the textbooks' orientation. Therefore, the Korean textbooks' improvement plan representing the writing principle to the right way was presented here. Firstly, the diverse conversations and narrations should be offered and reflect on real life. Curriculum planners should free themselves from the idea that grammar teaching must be given to the students in detail and throw away the structure oriented arrangement. Moreover, curriculum planners had better make diverse trials for learners' motivation and textbooks should be organized by authentic materials. Curriculum planners must continue Textbook improvement process for the proper sense of communicative classroom.

목차
1. 서론
2. 의사소통적 언어 교수법
3. 교재 분석의 기준
4. 교재 집필원리 분석
5. 실제 교재 분석
6. 집필원리에 맞는 교재 개선 방안
7. 결론
저자
  • 김혜영(부산대) | Kim Hye-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