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어문화교육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제1집 (2007년 2월) 7

1.
2007.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들의 세부적 요구사항의 이해를 근거로 하여, 중국인에 대한 한국어 교육과정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것을 위해 우리는 신라대학교 한국어 연구소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생들에 대한 설문지를 조사했다. 설문지는 다섯 부분 즉, 학습자 요인, 교수방법 요인, 학습방법 요인, 학습내용 요인과 학습의 효과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요구사항들을 분석하여 우리는 한국어 교육과정을 설정하는 방향을 결정했다. 첫째, 기초 한국어 학습이 강화되어야 한다. 둘째, 외국인들은 그들의 높은 지적능력을 한국어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그들은 실생활 내에서 언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야 한다. 넷째, 목적 이 의사소통 능력의 확장이 되어야 한다. 다섯째, 문화를 받아들이는 방법은 다양한 수준에서 달라야만 한다.
2.
2007.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일반적인 한국어 교육프로그램과 단기 한국어 연수과정이 그 목표와 교수법에서 달라야 한다는 점을 기초한다. 이를 위해 교수자의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한 학습자의 요구 조사 및 관련 이론들을 참고하였고, 한국어에 관심을 가지고 한국의 문화를 익히려는 학습자들을 위해 효과적인 교재와 학습프로그램을 소개한다. 본문에서는 실제 수업을 기반으로 구성한 교재와 교수법을 제시하고 학습자들이 지속적으로 한국어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방법을 찾는다. 수업을 통해서 교재와 교수법의 유용성 및 한계가 조금씩 들어났으며, 학습자의 요구와 학습목표를 수용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함을 분명히 한다. 계속된 연구를 통해서 다양한 학습자 요구와 목표에 따른 특화된 교재와 교수법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3.
2007.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국어권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발음 교육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어를 처음 배우는 두 개의 중국어권 학습자 집단을 대상으로 아래와 같은 실험을 하였다. 한 집단은 교사의 발음을 단순히 듣고 따라하는 직접교수법으로, 다른 집단은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 등의 음성학적 정보를 제시하고 발음 을 교육하는 청각구두식 방법으로 동일 시간 동안 교육을 하고, 같은 문항으로 “받아쓰기”를 하여, 각 집단의 음소 인지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중국어권 학습자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발음 교육방법은 단순 반복을 통한 직접교수법이 라는 것을 밝힌다.
4.
2007.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일본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어의 대우법을 효과적으로 교육하여 바른 표현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일본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대우법 교육에 반영되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고 볼 수 있다. 첫째, 주체높임법, 상대높임법, 특수어휘높임법만을 구별한 기계적 문법교육은 지양되어야 한다. 둘째, 수업모형 및 단원 구성에 있어서 한국어와 일본어의 대우법의 차이점의 고려가 집중적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셋째, 교재 및 단원구성에 있어서는, 실생활에서 가장 많이 접하는 관계를 중심으로 그 예를 비교적 다양하게 제시해야 한다. 역할극을 활용한 한국어 대우법 수업은 학습자간의 상호 대화를 통하여 학습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한 한국어 학습 방안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5.
2007.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에서는 먼저 출판된 네 종류의 한국어 교재 집필원리를 살펴봄으로써 그 교재들이 의사소통적인 방향으로 집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교재의 실제 구성을 분석함으로써 집필원리에 맞는 교재가 설계되었는 지 살펴본 결과 실제 교재는 집필원리에서 추구하는 방향과는 다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집필원리에 맞도록 다음과 같은 교재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제시되는 본문이 다양하게 제공되고 실생활이나 사회문화적 맥락과 맞닿아 있어야 한다. 본 단원에서 문법 학습이 꼭 상세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생각을 버려야 할 것이고, 또한 구조 중심의 배열 방식에서 벗어나야 할 것이다. 덧붙여 학습자들의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는 다양한 시도가 교재 내에 구현되어야 할 것이고 교재는 실제적 자료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어 교실에서 진정한 의사소통적 수업이 가능하도록 교재에 대한 개선작업이 계속되어야 하겠다.
6.
2007.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이주 여성을 대상으로 적합한 한국어 교육을 모색하는 데 있다. 부산, 경남지역의 한국어 교육기관을 조사하여 국제결혼 한이주여성을 위한 교재를 개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장은 부산,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하여 한국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기관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여기에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와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고 분석하였다. 3장에서는 이주 여성들에게 적합한 교재 개발의 필요성과 성격을 살펴보고 이주여성을 위한 기존 교재의 문제점을 분석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교재 개발의 기본 방향과 각 단원의 기본 구성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앞서 논의한 것을 토대로 이주여성의 특성을 반영한 교재의 실례를 들어보았다. 초급 교재의 전체 단원을 구성해 보고, 이들의 상황과 여건에 맞추어 교재의 한 단원을 구성하였다. 이제 이주여성화가 되어가는 추세가 우리 사회의 현실이다. 따라서 우리 사회의 일원이 된 이주여성들이 이 사회에서 떳떳하게 살아가기 위해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도 이들을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7.
2007.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에서는 중국인 학습자가 이른바 ‘장소’를 나타내는 한국어 격조사 「-에」와 「-에서」를 습득하는 단계에서 나타나는 현상 중 하나인 ‘과잉일반화’ 오류를 학습자의 조사 선택 전략과 관련지어 살펴보았다. 중국인 초,중, 고급 학습자 3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빈칸 채우기 테스트, 학습자 내성과 회상 실험을 이용하여 연구를 설계하였다. 실험 결과,「-에」와「-에서」간 과잉일반화 오류의 방향에 있어서 피험자들은「-에」를「-에서」로 과잉 적용함으로써 오류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잉일반화 오류의 원인으로는 학습자들의 격조사 선택 전략, 즉 ‘장소를 나타내는 추상명사+-에’, ‘장소를 나타내는 구체 명사+-에서’와 같은 선행명사의 유형이 격조사 선택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상급 단계의 학습자들은 ‘덩이화 전략’ 외에도 ‘장소명사+-에서 + 무엇을 하다’, ‘장소명사+-에 무엇이 있다’와 같이 이른바 ‘패턴 전략’을 함께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