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cent Activities and Challenges for Korean Language Study in Mongolia
이 논문에서는 지난 50년 동안 몽골에서 한국어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알아보고자 먼저 1959년에 몽골에서 발표된 홍기문의 논문을 소개하고, 한국어 연구, 훈민정음과 몽골족 문자들과의 관계 연구, 한국어 교육을 위한 연구로 나누어 그간의 연구 성과를 살폈다. 홍기문은 남북한을 통틀어 최초로 몽골을 방문한 학자로 한국어와 몽골어에 대해 흥미로운 논문을 발표했다. 그는 13-14세기에 일어난 한국어와 몽골어의 접촉이 한국인의 언어와 문자에 어떻게 영향을 끼쳤는가에 대해 집중적으로 조명했다. 한국어 연구는 계통, 문법, 어휘 분야에서 이루어졌다. 계통 문제와 어휘, 특히 한국어 속의 몽골어 차용어에 대해서는 수미야바타르 교수가 연구했고, 몽골어와 한국어의 문법 비교는 젊은 연구자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훈민정음과 몽골족 문자들과의 관계는 샥다르수렝 교수가 심도 있게 연구했고, 한국어 교육을 위한 연구는 샌빌렉트 교수가 주도적으로 이끌고 있다. 몽골에서의 한국어 연구는 기존의 알타이어학 연구에서 한국어와 몽골어에 대한 전문지식이 부족해서 생긴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두 언어의 친근 관계를 객관적이고 실증적으로 밝히는데 일조하리라고 기대된다. 몽골족의 문자들과 훈민정음의 관계에 대한 연구도 앞으로의 성과가 기대되며 최근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와 몽골어의 문법 비교는 몽골학생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 한국어 교재 개발에도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한국어학 자료실 설치와 한국어 연구자들의 연구여건 개선을 위한 지원은 가장 시급한 과제로 남았다.
To explore how the Korean language study has proceeded in Mongolia for the last fifty years, this paper first introduces Hong Gi Moon's thesis which was published in 1959 in Mongolia, followed by the recent research activities: an overview of the Korean language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Hoonminjeongeum and Mongolian scripts and the challenge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Hong Gi Moon, the first Korean scholar who ever visited Mongolia, presented an interesting thesis about Korean and Mongolian, mainly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the two languages' contacts on the Korean language and script which had occurred during the 13th to 14th century. The Korean language study in Mongolia has been centering on its family, grammar and vocabulary. Professor B. Sumiyabaatar has been studying the family and vocabulary, especially Mongolian loan-words in Korean. The comparison study between the two languages' grammar has been conducted by young researchers. Professor Ts. Shagdarsüren has had an in-depth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oonminjeongeum and Mongolian scripts. The research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been led by Professor D. Sainbiligt.The Korean language study in Mongolia is expected to supplement inadequate elements resulting from a lack of expert knowledge about the two languages in the study of the Altaic languages, contributing to proving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m objectively and practically.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ngolian scripts and Hoonminjeongeum is also expected to produce good results. The grammar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Mongolian will be able to be utilized for the Korean education for Mongolian student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Korean teaching materials. However, building a reference room for the Korean language study and improving research conditions for Korean language researchers remain as the most urgent challen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