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해례본의 서체를 누가 썼느냐는 매우 중요한 문제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1940년경 한글판본이 안동에서 발견된 후 앞쪽 어제서문 4장이 떨어져 나가 이를 깁는 과정에서 훈민정 음 판하서체를 안평대군의 글씨로 지목하면서 심증적 추측성 의견이 분분하다. 본 논문에서 해례본 판하서체는 정인지가 직접 쓴 서체라는 것을 분명하게 밝혔다. 그 근거로는 첫째, 훈민정음 해례본에 ‘세자우빈객 신 정인지 서’로 서자 (書者)가 분명하게 기록되어 있다는 점. 둘째, 서체가 서문에서 관지까지 일맥창통(一脈暢通)한다는 점. 셋째, 부왕의 업적을 아들이 찬서 할 리 없다는 점. 넷째, 정인지서라고 적혀있는데도 다른 사람이 대서할 수가 없다는 점. 다섯째, 정인지 서체와 훈민정음 해례서체가 같은 필체라는 점이다. 제2장에서는 훈민정음 해례본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고 특히 정인지의 후서까지 한 흐름으로 이루어져 의도적으로 이 를 변조하거나 바꿀 수 없게 만들었다는 것을 밝혔다. 제3장에서는 그동안 학계에서 알려져 있는 기존 주장을 파악 하고, 정인지의 후서와 관지에 분명하게 서명했음에도 불구하 고 여태껏 필사자에 대한 서지학적 연구 정리가 이루어져 있지 않아 기존 주장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특히 최초로 안 평대군 서체설을 주장하여 서지학적 논증과 실증적 연구 기회 를 놓친 것에 대한 성찰과 이를 바로잡아야 한다는 것을 설명 하였다. 결론적으로는 이와 같은 근거와 논증을 바탕으로 훈민정음 해례본의 판하서가 정인지의 글씨라는 것을 명확하게 밝혀두었 다. 끝으로 본 연구와 함께 필요한 서체비교 분석은 또 다른 연 구과제로 지면이 한정되어 진행하지 못한 점을 아쉽게 생각하 며, 앞으로도 이 연구에 이어 정인지의 서예에 대한 재조명과 훈민정음 해례본 한자서체 및 한글서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 루어지길 기대한다.
훈민정음 창제의 이론적인 배경과 동양 천문도와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훈민정음 해례본의중성의나열 순서가 지금과다르게되어 있는 이유는 천문도인 하도에 이론적인 바탕을 두었기 때문이다. (해례본의 중성의 순서- •, , ㅣ, ㅗ, ㅏ, ㅜ, ㅓ, ㅛ, ㅑ, ㅠ, ㅕ.) 해례본의 초성의 나열순서가 지금과 다르게 되어있는 이유는 천문도 인 낙서에 이론적인 바탕을 두었기 때문이다. (해례본의 초성의 순서 - ㄱ ㅋ ᅌ, ㄷ ㅌ ㄴ, ㅂ ㅍ ㅁ, ㅈ ㅊ ㅅ, ᅙ ㅎ ㅇ, ㄹ, ▵) 한글이 모두 28자로 만들어진 이유는 <28수 천문도>에 이론적인 바 탕을 두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지금은 24자만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세종때에사용하던4글자와합용병서법을살려쓰면우리말 뿐 아니 라 정확한 외국어표기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ㅋ ㅌ과 ㅊ ㅎ에 획畫을 더한 모양이 서로 다른 이유, 즉 ㅋ과 ㅌ에 는 획(━)으로, ㅊ ㅎ에는 각점 (n)을 더한 이유도 <28수 천문도>에 그 이론적인 바탕을 두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훈민정음창제의 이론 적인 배경과 동양천문도와는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background, motivation and purpose of the creation of Hunminjeongeum, which previous research has not poured much attention. The study makes multiple categorization with regard to the motivation and purposes revealed in the preface written by King Sejong. It divides the intention of Hunminjeongeum into two parts: politics-society (p-s) and language-culture(l-c). As for the background fact of p-s, I mentioned the needs of edification and, for the l-c part, I mentioned contradictory relation between the spoken language and the written language through Chinese writing and Idu(吏讀). Motivation and purposes are again divided into a main part and a secondary part. For the main side of p-s factor, I dealt with the efficiency of edification policy and edification purpose. This part also embraces the laws and ordinances regarding agricultural knowledge. And for the l-c factor, I mentioned the problems in the distribution of documents and in the communication with lower classes through Chinese writing and Idu. The secondary part is also divided into p-s and l-c factors. The minor section regarding the motivation and purposes of p-s factor is the disorder of the earli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justification of the dynasty. For the minor section regarding the motivation and purposes of l-c factor is the confusion of the Chinese pronunciation. Through this classification, this study aims to help to grasp the true meaning and process of the creation of Hunminjeonge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