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元曉大師는 매우 특이하고도 영향력이 컸던 高僧이었다. 승려의 신분 으로 아이까지 갖고 생활에는 僧俗을 따로 구분하지 않았다. 義湘法師 와 함께 唐으로 유학을 가다가 “三界唯心”임을 깨닫고 중도에서 돌아와 自力으로 깨달음을 얻었고 아울러 經典의 註釋과 佛道에 대한 저술에 힘썼다. 이 논문은 학회발표장소가 中國의 西域(乌鲁木齐)임을 감안하여 大師 의 偉業과 그 특징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특히 三界唯心의 깨달음을 바 탕으로 하여 僧俗을 함께 포용하는 會通의 정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元曉大師는 佛國淨土에 ‘眞俗’, ‘邊中’, ‘有無’, ‘是非’ 등의 구분이 없 음을 드러내고자 하면서 여러 종파를 統攝으로 融合하고자 하였다. 大 師의 ≪十门和诤论≫에서 제기된 “和百家之異諍’論은 이러한 배경에서 이루어진 심오한 사상으로 중국에까지 영향을 크게 미쳤다. 大師는 一生에 걸쳐 大略 80余部200余卷의 저술이 있었지만 현재는 22種만이 전해지며 그 중에서 ≪佛说阿弥陀经疏≫, ≪金刚三昧经论≫, ≪法华经宗要≫, ≪涅槃经宗要≫, ≪判比量论≫, ≪十门和诤论≫, ≪华 严经疏≫, ≪大乘起信论疏≫, ≪起信论别记≫, ≪游心安乐道≫ 등은 우 리나라의 佛敎 토착화에 주춧돌의 역할을 하였으며 아울러 中國에서도 크게 주목을 받은 저술들이었다.
        4,400원
        2.
        200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文学是以文字表现出来的,文字就是文学的最重要工具。不过在韩国无论是一般人,或是学术界,对文字并没有明确的概念。韩国本来用汉字, 后来创制韩文,加以混用,由此韩国的文字就是汉字与韩文两种文字结合而成,一直用到现在了。不过混用两种文字,往往造成混乱,有些人主张废除汉字,专用韩文,很像是过去中国的鲁迅所说“汉字不灭,中国必亡。”的主张。尤其韩文学者的这种主张是很激烈的。汉字是韩国的国文,还是外文,国家及学术界都没有明确的答复。研究文学的学术界竟然对自己的文字也没有统一的标准,可以说是搞文学最基本的条件也没有具备。 在此主要探讨有关汉字的这种问题,想找一个标准,来建立国文的范围。汉字不能说是外文,韩国用汉字的历史已经超过两千年,过去韩国的文献,绝大部分都是使用汉字记载的。到了现在计较汉字的产地,排斥汉字,并否定用汉字的历史,这不能说是合理的态度。 世宗大王创制训民正音,并不是要代替汉字的,而是要补充汉字的缺点。汉字原来并不是很完善的文字。‘字形’到了秦始皇才开始用统一的形态。‘字音’呢,到了现代造出汉语拼音方案以后才有了全国性的标准音,这才有了半世纪左右的历史,又是借用罗马字母的。训民正音就是汉语拼音方案一样,给每个汉字注音,更进一步用韩国话解释字义,这是因为训民正音不只是表音符号,而是一个完整的表音文字,用来把汉字及汉文的意义都可以翻成韩文。 训民正音如此解决了当时文字的两大问题;其一确立汉字的注音方法,以确定汉字的标准音,其二可以记录当时的口语,一般平民也很容易掌握文字,可享有文字生活。 训民正音既是伟大,正如郑麟趾说;“因声而音叶七调,三极之义,二气之妙,莫不该括,以二十八字而转换无穷,简而要,精而通。……虽风声鹤唳鸡鸣狗吠,皆可得而书矣。”,不过训民正音还是表音文字,只能表音,不表义。因此与汉字结合,才能尽其功用,这就是世宗大王创制训民正音的目的了。 现在我们用汉字是极为自然的,单独用韩文是不合世宗大王的意图,是很明确的。再说我们用的汉字就是我们的文字。
        6,100원
        3.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8,4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