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훈민정음 해례본 板下書體서사자에 관한 연구 KCI 등재

Hunminjeongeum Haerye ‘A handwriting style that is carved on a wooden board’ Research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78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000원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예술연구))
초록

훈민정음 해례본의 서체를 누가 썼느냐는 매우 중요한 문제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1940년경 한글판본이 안동에서 발견된 후 앞쪽 어제서문 4장이 떨어져 나가 이를 깁는 과정에서 훈민정 음 판하서체를 안평대군의 글씨로 지목하면서 심증적 추측성 의견이 분분하다. 본 논문에서 해례본 판하서체는 정인지가 직접 쓴 서체라는 것을 분명하게 밝혔다. 그 근거로는 첫째, 훈민정음 해례본에 ‘세자우빈객 신 정인지 서’로 서자 (書者)가 분명하게 기록되어 있다는 점. 둘째, 서체가 서문에서 관지까지 일맥창통(一脈暢通)한다는 점. 셋째, 부왕의 업적을 아들이 찬서 할 리 없다는 점. 넷째, 정인지서라고 적혀있는데도 다른 사람이 대서할 수가 없다는 점. 다섯째, 정인지 서체와 훈민정음 해례서체가 같은 필체라는 점이다. 제2장에서는 훈민정음 해례본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고 특히 정인지의 후서까지 한 흐름으로 이루어져 의도적으로 이 를 변조하거나 바꿀 수 없게 만들었다는 것을 밝혔다. 제3장에서는 그동안 학계에서 알려져 있는 기존 주장을 파악 하고, 정인지의 후서와 관지에 분명하게 서명했음에도 불구하 고 여태껏 필사자에 대한 서지학적 연구 정리가 이루어져 있지 않아 기존 주장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특히 최초로 안 평대군 서체설을 주장하여 서지학적 논증과 실증적 연구 기회 를 놓친 것에 대한 성찰과 이를 바로잡아야 한다는 것을 설명 하였다. 결론적으로는 이와 같은 근거와 논증을 바탕으로 훈민정음 해례본의 판하서가 정인지의 글씨라는 것을 명확하게 밝혀두었 다. 끝으로 본 연구와 함께 필요한 서체비교 분석은 또 다른 연 구과제로 지면이 한정되어 진행하지 못한 점을 아쉽게 생각하 며, 앞으로도 이 연구에 이어 정인지의 서예에 대한 재조명과 훈민정음 해례본 한자서체 및 한글서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 루어지길 기대한다.

It is extremely important matter who wrote Hunminjeongeum Haeryebon font. Hereby, the academic world has continuous conflict opinions on this and until now, since a printed copy of Korean language is first found in Andong in 1940s and four pages that the King wrote was ripped off from the book. During repair process, Prince Anpyeong Yi Yong was pointed as the writer of the book. This article clearly disclose that Hunminjeongeum Haeryebon is written by Jung In Ji with below evidence and grounds. First of all, the writer of Hunminjeongeum Haeryebon is clearly recorded in there by mentioning ‘written by Prince Woobingaek servant, Jung In Ji .Secondly, handwriting and style is consistent in a sentence from the beginning till the signature. Thirdly, it is not allowed to write an eulogy of the achievement of a father, the King. Fourthly, there is no reason for other person to write for someone else. Finally, handwriting style of Jung In Ji and Hunminjeongeum Haeryebon is identical. In the second chapter, general format of the Hunminjeongeum Haeryebon has been studied again. The finding is that Jung In Ji made it impossible to change or modify intentionally by writing this in one stream. In the third chapter, this report identified the claims that have been known in academia in the meantime. As a result, there is a self-examination on causing a confusion by assert that Prince Anpyeong Yi Yong wrote Hunminjeongeum Haeryebon without enough supporting evidence and also this report pointed out that there is a lack of bibliographic research. In the final chapter, there is a clear evidence and proof supporting the fact that the handwriting carved on the Hunminjeongeum Haeryebon is written by Jung In Ji. In conclusion, it is an unfortunate that the handwriting style could not be compared and analysed from this report and hope there will be further investigation on Jung In Ji's Calligraphy and handwriting style of Hunminjeongeum.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훈민정음 해례본의 구성과 정인지의 후서
    1. 훈민정음의 구성
    2. 정인지의 후서(後序)와 관지(款識)
Ⅲ. 판하서체 서사자에 대한 기존 주장과 문제제기
    1. 정철의 안평대군 서체 주장과 문제점
    2. 안평대군 서체설에 대한 증폭과정
Ⅳ 款識의 傳統과 정인지의 판하서 ‘근서’
    1. 관지의 전통
    2. 정인지의 판하서 ‘근서’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주형(대전대학교 교수) | Lee Juhyung (ph.d.professor DaeJeon University Dept of Calligrap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