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교육에서 주체성의 위치
어떻게 우리는 복잡하게 구조화된 교육실제에서 능동적인 주체로서 기능하는 예비교사들을 양성할 수 있을까? 최근의 복잡성이론 및 해석학 연구에 힘입어, 본 연구는 교사교육에 있어 주체성과 교육과정, 지식과 정체성 사이의 역동적 관계를 그려보고 있다. 우리의 지식-의식은 우리의 존재양식을 구성하며 역으로 존재양식은 우리의 지식을 구성한다.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언어가 우리의 정체성을 형성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언어를 은유적으로 혹은 시적으로 사용한다는 것은 과연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가르치기 위해 배우는 과정(교사교육과정)에서 개인적 실천적 지식은 어떻게 공적인 지식과 타협되는가? 궁극적으로 우리는 어떻게 학생-교사 주체성에 관계되는, 혹은 침투될 수 있는 새로운 교사 교육과정을 구상할 수 있을까? 본 논문은 기존의 주요한 세 교육과정 분류, 즉 기술적, 비판성찰적, 상황해석적 탐구 접근 가운데 상황해석적 교육과정 탐구방식을 미시적 접근법으로서 비판성찰적 탐구방식을 거시적 접근법으로서 취하여 균형을 맞추려고 시도하였는데, 이는 우리의 생활경험뿐만 아니라 사회적 수준에도 강조점을 두는 것이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본 연구는 열정과 자아발달의 관계, 그리고 궁극적으로 윤리적 창조성을 육성하는 교사교육과정에 대해 탐구하고 있다.
How can we expect a prospective teacher functioning as human agency in complexly structured educational practice? Drawing on recent developments in complex theory and hermeneutics, this paper attempts to envisage a dynamic relation between subjectivity and curriculum; knowledge and identity in teacher education. Our knowledge--our consciousness constitutes the way of being and vice versa. Given that language shapes personal identity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what is it like to use language metaphorically and poetically? In the process of learning to teach how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is negotiated with pubic knowledge? After all, how can we revision a new curriculum for teacher education that would affect or be embedded in student teacher subjectivity? Among the main three curriculum categories--that is, technical, critically reflective, and situational-interpretive inquiry orientations, I attempts to balance two positions: situational interpretive inquiry as a microscopic approach and critical-reflective orientation as a macroscopic approach, so it focuses not only on life experiences but also on societal level. This paper investigates a relation between passion and selfhood, and thus ultimately searches for teacher education program fostering ethical crea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