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淸州地域 築城의 系列順次

An Affiliation Order on Castles at Cheongju A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209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400원
한국성곽학회 (Korea Fortress Academy)
초록

청주 지역의 약 40개소 이상의 성보(城堡)들의 존재 양상을 분석 정리하여 축성 계획의 연속적 발전과정을 추구하였다. 소규모의 목책과 토축의 성보가 축조되는 단계에 백제왕국의 영역 내로 편입되어졌다고 여겨진다. 가장 많은 수의 성보들은 분포양상과 유물들에 의한 편년으로 보아 5세기 후반에서 6세기 전반의 삼국이 마주치던 국경지역에 축조된 것으로 판단되고, 10세기 초에는 후삼국의 분열시기가 되면서 수축되어 다시 사용된 국경지역의 양상을 보인다. 안정된 지역 중심지로서의 성곽도시의 첫 단계는 신라의 영토로 편입된 시기의 석축 산성 축조에서 시작되고, 평지나 낮은 구릉을 이용한 읍성 성격의 토축 도시성곽과 도시 배후의 산성을 동시에 가지는 성곽도시는 통일신라 지배시기와 관련된다. 문헌상의 서원소경이 서원경으로 승격되는 시기에 변화가 시작되어 고대적인 성곽도시의 최종형태는 10세기 고려왕조 초기에 나성을 가진 도시로 변화하였다. 이후 13세기에 이르러서는 관할구역 내의 가장 험준한 곳에 대규모의 입보농성을 위한 피난용 산성이 추가되었다. 조선왕조에 이르러 읍성이 석축으로 개축되어 행정 중심도시가 되었다. 16세기 말의 왜란과 17세기 전반의 호란을 겪은 뒤인 17세기 후반에 지역 육군을 총괄하는 병영이 읍성에 자리하면서, 그 배후의 토축 옛 산성을 석축으로 개축하여 상당산성을 경영하였다. 이 읍성 내지 영성(營城)과 산성이 하나의 짝을 이루는 형식의 성곽도시가 최종 형식이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consecutive development process of castellation planning(Serial Search on Castellation of Cheongju Area) by analyzing the existence form of more than 40 citadels in Cheongju Area. These citadels are considered to have been incorporated into the kingdom of Baekje at the phase when the small wooden fence and the earthen sconce were under construction. The distribution pattern of citadels and chronology of the relics indicate that the dominating number of citadels were built at the borderland of three kingdoms in the late 5th and early 6th centuries. They were repaired and used again in the early 10th century when later three kingdoms fell apart. The first phase of fortress cities as stable regional centers began with the construction of masonry mountain fortress when they were incorporated into Silla territory. Meanwhile, the fortress cities characterized by the earthen fortress of town castle located in the flatland or downs and by the mountain castle at the rear of them have to do with the period dominated by Unified Silla. The ancient fortress cities started to change again in the period when Suhwonsokyung was raised to the status of Suhwonkyung in literature, taking the final form of fortress cities with Naseung(exterior fortress) in the 10th century, the early years of Goryeo dynasty. Later in the 13th century, the escape mountain fortress was added at the most rugged place in the jurisdiction in order to protect the citizens on a large scale in the case of the war. In Joseon Dynasty, the town castle was rebuilt into the masonry, becoming the administration center city. In the second half of 17th century after Japanese invasion of 1592 and the Manchu war of 1636, the headquarter of the regional army was settled at the town castle and began to manage Sangdang mountain fortress which was rebuilt as the masonry fortress at the site of the earthen fortress established in the Suhwonkyung period. This form, that is a combination of the town castle (or army headquarter castle) and mountain fortress, was the final quintessence of the fortress city.

목차
Ⅰ. 머리말
Ⅱ. 청주지역 성보자료의 검토
Ⅲ. 시대별 축성의 계통별 검토
Ⅳ. 맺음말
저자
  • 차용걸(충북대학교 역사교육과) | Cha, Yong-ge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