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장애인 욕구조사 및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Disability Needs Survey and Policy Direc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270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Practice)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의 생활실태 및 욕구조사를 통해서 장애인의 전반적인 삶의 질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간략히 살펴보면, 첫째, 조사 결과 응답자의 74.9%가 직접 설문에 응했다. 응답자의 26.4%가 미혼인 상태로 조사되었고 미혼자 72명 중 87%가 50세 미만으로 나타났다. 장애 발생시기는 선천적인 경우는 11.8%에 불과하고, 후천적인 경우가 88.2%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27.9%가 재활 치료를 받고 있으며, 다른 사람의 도움이 “조금 필요하다” 이상의 응답이 67.8%로 나왔다. 또한 응답 장애인 중 22.7%가 직업이 있었고, 직업교육을 원하는 장애인은 22.7%로 나타났다. 자조모임의 참여여부에 대한 조사에서 중증 장애인들의 자조모임 참여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외출의 경우 58.6%가 주3회 이하의 외출을 한다고 응답하였고, 외출의 이유는 병원치료가 26.5%로 가장 많았다. 교통수단은 54.7%가 버스나 택시 같은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고 있었고, 편의시설 미비로 인해 활동 제약을 가장 많이 받는 부분은 일상생활 54.9%로 나타났다. 컴퓨터 보유율은 66.0%이나 장애인 가구의 컴퓨터 보유율은 57.7%로 나타났다. 인터넷 이용은 62.9%가 인터넷을 사용하지 못하며, 장애인 보조기기 사용경험은 86.1%가 없음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의 개별화된 욕구 중에서 가장 중요한 질문인 “가장 필요한 도움”에 대하여 응답자들은 1순위, 2순위 포함하여 경제적 지원(38.8%)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관련 복지시설 중 가장 필요로 하는 곳은 의료 및 재활치료에 관련된 재활 병의원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정책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의 경제적 재활을 돕는 새로운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즉, 장애인들이 경제적으로 재활 가능한 취업과 직업훈련 중심의 전문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둘째, 장애인에 대한 의료지원을 확대하여야 한다. 특히, 중증장애인은 거동이 불편하며, 가장 필요한 서비스가 의료서비스로 나타났기 때문에, 거동불편 장애인들을 위한 의료지원체계의 확립이 시급하도고 할 수 있다. 셋째, 장애인의 접근권을 확대할 수 있는 체계를 확립하여야 한다. 대다수의 장애인들이 모든 기관 및 시설에 접근이 불가능한 것은 편의시설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Based on this understanding, and the overall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 Disabled Living Conditions and Needs Survey, this study was to provide policy direction. First, a brief look at the research results, survey results, 74.9% of respondents in the survey complied. Unmarried 72 of the survey, 26.4% of respondents to the unmarried state was 87 percent were under 50 years of age. Posteriori congenital disorder occurs when the if, and only 11.8% was 88.2%. 27.9% of respondents receiving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little" need the help of someone else came out with more than 67.8%. Also respond with disabilities was 22.7% of the job desired vocational education,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22.7%. About whether or not to participate in self-help groups self-help groups of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who participate in the survey was higher, if you go out of the reason of going out less than three times a week, 58.6% answered that they were going out of the hospital treatment 26.5% most was. Transportation, 54.7% bus or use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taxis were constrained due to the lack of amenities, activities and most part of the day-to-day life was 54.9%. Households with a Computer, computer ownership rate of 66.0% or disabled households and 57.7%, respectively. Internet use, 62.9% do not have access to the Internet, and the experienc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use assistive devices 86.1%, respectively. Most needed "help" to the most important question of Individualized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1 Rank 2 Rank, including economic support (38.8%), most respondents were Related welf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re most in need of medical and rehabilitation hospitals was related to rehabilitation therapy. We provide policy direction are as follows. First, a new program to help the economic rehabilit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developed. In other words, people with disabilities employment and economic rehabilitation of the vocational training center professional program is necessary. Medical assistan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should be expanded. In particular,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mobility services are needed most, and appeared as a medical service because of behavior inconvenience to an urgent need to establish medical support system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can be. Third, the system can extend the acces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established. The majorit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ccess to all institutions and facilities is not impossible, because the lack of amenities.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1. 문제제기
  2. 연구목적
 Ⅱ. 연구방법
  1. 조사개요
  2. 설문내용
 Ⅲ. 연구결과
  1. 일반적 사항
  2. 장애 및 활동제약
  3. 소득 및 경제활동
  4. 여가/문화/소득활동
  5. 외출 및 교통
  6. 주거 및 편의시설
  7. 정보화
  8. 복지욕구
 Ⅳ. 결론 및 제언
  1. 연구결과 요약
  2.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권오균(장안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조교수) | Kwon, Oh-gy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