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도시지역과 농ㆍ어촌지역아동의 가족 건강성 및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n urban, agricultural and fishing communities in areas for Family Health and Ego Resilience to the satisfaction of school wor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272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Practice)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도시와 농ㆍ어촌 아동들의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에 의한 학교생활 만족도에 대해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두 지역간의 차이를 검증하고 이에 관련된 변인들을 규명하였다. 또한 아동의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좀 더 나아가 지역적 요소를 변인으로 넣어 도시와 농ㆍ어촌 지역의 아동들의 학교생활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여 환경적인 측면이 아동들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지역적으로 비교분석을 하기 전에 아동의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 학교생활 만족도, 즉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만족도,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만족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어떠한 변인보다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의 의의와 그 시사점을 논하고 제언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the differences in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wo regions centered around school life satisfaction by the cities and the agricultural and fishing communities of children in family health and self resilience related variables were identified and validated. Also,we analyzed the impact of the child's family health resilience and self to the satisfaction of school life. Put variables as local factors, local cities and the agricultural and fishing communities of school children by comparing the life satisfaction, environmental aspects a little further about how it affects children were examined. Before compared to the regional analysis of the child's family health and self-resilience, school satisfaction, i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dependent variable, family health and self resilience, family health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ego resiliency and school satisfaction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t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family health and self resilience than any variables it has an impact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Discuss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presented.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1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 연구 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 가족건강성
  2 . 자아탄력성
  3. 학교생활 만족도
  4.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
  1. 연구 모형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 측정도구
 Ⅳ. 연구결과
  1. 지역에 따른 아동의 가족 건강성과 자아탄력성 그리고 학교생활 만족도의 차이 분석
  2. 아동의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3. 도시지역 아동의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4. 농ㆍ어촌지역 아동의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이 학교 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Ⅴ. 결론 및 논의
  1. 결 론
  2. 논 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상주(오산대학교 사회복지행정과 조교수) | Lee, Sang-j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