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2.
        199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포지역에 적합한 생태관광 기본계획을 수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 수행된 연구에서 제시된 생태관광계획모형의 순차적 단계에 따라 사례연구로서 수행되었다 우포지역에서의 자연환경 및 인문환경을 비롯한 제반여건을 분석한 결과, 우포지역에서의 친환경적인 생태관광지 조성의 필요성과 당위성이 인정되었다. 이에 따라 기초환경 조사 결과를 토대로 생태관광 주제를 설정하고 이에 적합한 시설 및 프로그램에 대한 공간계획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된 계획안은 개념적 계획안으로서 실제 적용을 위해서는 법률적, 행정적, 재정적 한계 등 공공부문의 제약요인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가 요구된다.
        4,200원
        3.
        2013.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95년부터 전국적으로 실시된 쓰레기 종량제는 쓰레기의 발생량을 30~40%정도 줄이고 재활용품 수거율을 2배 이상 증가시키는 효과를 얻었으나 종량제 봉투가격이 실제 처리의 비용의 29.5% 수준으로 경제적 유인 동기유발 효과가 미흡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더욱이 농어촌의 경우 노동력의 노령화 및 환경보존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인하여 쓰레기 종량제에 대한 정착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대부분 불법투기나 소각에 의해 야적장화되어 이를 처리하기 위한 막대한 지자체의 예산과 인력이 투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충남 지역은 중・소규모 도시들과 농어촌으로 구성되어 있어 폐기물 발생량과 특성이 대도시 지역과 다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충남 농어촌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폐기물 관리시스템을 수립하고자 농어촌 폐기물 발생현황 및 성상분석을 실시하였다. 폐기물 성상분석은 도시지역과 농촌지역 및 어촌지역 세 곳으로 나눠 각 지역별 500L를 무작위 선별하여 채취하였고 채취된 시료를 이용하여 물리적 조성, 겉보기 밀도, 삼성분 및 발열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5년(‘06~‘11년)간 충남 생활폐기물 발생현황을 조사한 결과 1일・인당 폐기물 발생량은 0.89kg으로 전국 평균치(0.85kg/일・인)와 유사하였으나, 불연성분이 13.59%으로 전국 평균치(6.05%)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는 재활용의 수치에서도 27.84%로 전국 평균치(31.45%)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음식물의 경우는 20.28%로 전국 평균치(28.30%)로 나타나 재활용과 음식물 분리수거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시료 채취 후 수작업에 의해 조사한 폐기물의 물리적 조성 분석 결과, 채취지점별 생활쓰레기 가연성분의 양은 전체의 96.9%(도시지역), 94.1%(농촌지역), 93.0%(어촌지역)을 차지하였고 그 중 플라스틱류(29.56~33.81%)와 종이류(27.09~31.06%)가 많이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더욱이 어촌지역의 경우 음식물류가 19%를 차지하고 있어 도시지역(9.49%)과 농촌지역(9.96%)에 비해 음식물 분리수거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불연성분의 경우 역시 3.09%(도시지역), 5.87%(농촌지역), 7.04%(어촌지역)로 농어촌 지역이 도시지역에 비해 분리수거가 잘 이루어지고 있으며 유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폐기물의 섬성분 분석결과 음식물 쓰레기비가 높은 어촌지역의 경우 수분이 36.8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원소 조성별 함량은 탄소, 산소, 회분, 수소, 질소, 황, 염소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발열량 분석결과는 세지역 모두 저위 발열량이 300kcal/kg을 초과하는 매우 높은 값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수도권 매립지에 반입되는 생활쓰레기의 저위 발열량보다 다소 높은 값이다. 이처럼 저위발열량이 높은 값을 보이는 이유는 가연성 생활쓰레기 내 수분함량이 높은 음식물 쓰레기의 비가 낮은 반면 플라스틱류가 많은 비중을 차지함으로써 발열량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4.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living environment in rural fishing area and to suggest checking methods for implementation performance. Rural service standard is the key factor of rural development in Korea. In 2012. The first Implementations of performance was announced. The results were presented to the unit by the City and the County. Because of Fishing villages exists as a unit by the haengjeongri. It is difficult to know the status of the fishing villages by the Rural service standard. In order to look for the actual conditions in rural fishing village it was investigated in the 100 Eochongye. The data used in the analysis is 577 questionnaires. Analysis showed that rural fishing areas were superior to general state of rural in the 8 items of rural service standard. Especially housing, transportation and health care sector in rural fishing area wes better than general state of rural. But Public safety and order is relatively poor. This is because Fishing village contains islands. Presenting to improve rural service standard based on the results of research. The items of rural service standard should be measured the actual residents' accessibility than opportunity of the public service, and after setting the rural service standard clearly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in each sector. Accessibility aspects of the customer for the public services should be considered. Checking the performance for the unit by the City and the County should be replaced as a living zone in order to consider the facilities using nearby.
        6.
        200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pose some useful advices for the improvement policy of the minor rural roads. For the detailed case studies on structural improvement level of the minor rural roads, 5 county areas in Chonnam Province were selected ; Damyang (peri-urban), Gurye(remoter mountainous), Jindo(remotest island), Yuongam(intermediate flat) and Bosung (intermediate semi-mountainous). In each county, the official survey data on pavement types, widths and ratios of district(Myun in Korean) and parish(Ri in Korean) roads were collected. There were no apparent differences between district and parish roads in terms of structural improvement level, while the former was ranked higher than the latter in the minor rural road improvement law, so, the present hierarchial classification system of rural roads should be readjusted. And above a third of minor rural roads in the case study areas did not meet the statutory minimum level of road width, which means the necessity of substantial upgrade of road improvement works in rural areas.
        8.
        199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s of the study are to identify the issues and problems encountered in Korea's current integrated rural regional development(IRRD) program and to suggest policy remedies to cope with them. Secondary data and materials ate mainly used for the study. Since the mid-1980s, rural settlement planning has been carried out in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planning process,'scale of economy'perspectives and settlement policy have been emphasized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investment. During the 1990s, rural settlement and major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have been implemented under the rural structure transformation programs. Agricultural structure adjustment projects for land consolidation and sizable farming have been separated from the rural settlement and mojor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Based on the evaluative analysis for the rural structure transformation policy and program, some problematic issues were raised as follows: (a) lack of integrative control function in the program'(b) weak linkage between living environment improvement and agricultural development projects: and (c) lack of comprehensive village development planning and implementation system. The policy issues to solve the problems were suggested as follows: (a) adoption of bottom-up approach in new IRRD planning and project system : (b) projection of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ning and project at the village level; and (c) introduction of new regional agriculture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direct payment system for farming in less favorable areas and organic farm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