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17세기 후반 안용복의 피랍·도일사건과 의미

The Kidnapping of An Yong Bok & his Visit to Japan in the Late 17th Century and Their Meaning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275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400원
이사부와 동해 (The Review of Isabu and East Sea)
한국이사부학회 (The korean isabu society)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17세기 후반에 발생했던 안용복의 피랍․도일사건이 갖는 의미를 규명하기 위한 데 있다. 안용복의 피랍․도일 과정과 그것을 둘러싼 논쟁점을 살펴보고, 그 사건이 갖는 역사적 의미를 정리해보고자 하였다. 첫째, 안용복이 1693년 요나고의 오야가 소속 어부들에게 피랍되었다가 표류민 송환의 절차에 따라 귀국할 때 비변사에서 안용복이 진술한대로 서계를 수령한 것은 아니었지만, 1695년 막부의 질의에 대한 돗토리번의 답변이나 1696년 2차 도일 당시 작성된 일본측 조사기록 등을 통해서 미루어 안용복은 돗토리번의 家 老로부터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의 영토임을 증명하는 모종의 문서를 받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1693년과 1696년 두 차례의 도일은 울릉도와 독도의 영유권 재확인의 계기가 되었을 뿐 아니라 이후 진행된 울릉도수토정책으로 계승되었다. 안용복의 도일이라는 역사적 사실이 현재까지 한국이 동해의 해양주권을 유지하는 바탕이 되었으며, 실효적 지배를 하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조선정부는 적극적인 교섭 을 통해 막부의 일본인에 대한 ‘竹島渡海禁止令’을 끌어냈고, 울릉도 해역을 포함한 조선정부의 도서정책의 변화를 끌어냈다. 조선정부는 ‘울릉도쟁계’교섭 과정 중이던 1694년 9월 張漢相을 삼척첨사로 임명하여 울릉도를 조사하게 함으로써, 임진왜란을 전후하여 일시 중단되었던 울릉도 搜討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1699년부터는 邊將의 정기적인 수토를 제도화하였다. 세째, 안용복이 쓰시마번을 통하지 않고 직접 일본에 간 것은 대조선통교권을 독점하고 있던 쓰시마로 하여금 조선이 일본 幕府 등과 직접 통교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사건이었다. 쓰시마번의 儒者로 대조선교섭 전문가인 아메노모리 호슈(雨森芳洲)가 언급한대로, 안용복의 도일로 시작된 ‘울릉도쟁계’는 조일간의 외교교섭에 있어서 전환점이 된 사건이었다. 따라서 안용복의 도일로 촉발된 울릉도쟁계 는 임진왜란 이후 조선후기 조일관계가 비정상적인 외교적 관행이 고착되어 있던 상황을 타파하고 외교적 원칙이 정상적으로 기능하면서 처리된 사건으로 조일외교의 전환점이 된 사건이었다.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clarify the meanings of the kidnapping of An Yong Bok and his visit to Japan that happened in the late 17th century. The thesis is to exam the courses of the kidnapping of An Yong Bok and his visit to Japan as well as the issues around them and to clarify the histo rical meanings of the incidents. First, when An Yong Bok was kidnapped by the fishermen belonging to Ohyaga of Yonago in 1693 and returned according to the repatriation procedure for those who were adrift, he did not receive the diplomatic document as he stated to Bibyeonsa. However, according to the answer of Tottori-beon to Makbu s question in 1695 or the Japanese investigation records made in An s 2nd stay in Japan in 1696, it was estimated that An Yong Bok received some sort of document from the head of the family of Tottori-beon verifying that Ulreungdo and Dokdo were the territories of Chosun. Second, the two visits to Japan in 1693 and 1696 became the opportunities to re-confirm the sovereignty of Ulreungdo and Dokdo and later continued to the investigation policies of Ulreungdo. The historical fact of An Yong Bok s visit to Japan is up to now the basis that Korea maintains the maritime sovereignty of the East Sea and the reason for its effective control. Through the aggressive negotiation, Chosun drew Makbu s Ordinance on the Prohibition of Crossing the Sea to Jukdo by the Japanese and the change of the island policies of the Chosun government including the seas of Ulreungdo. During the course of negotiation on Diplomatic Dispute over Ulreungdo , Chosun government nominated Jang Han Sang as Cheomsa of Samcheok and had him probe Ulreungdo and resumed the investigation of Ulreungdo which temporarily stopped around the time of Imjinwaeran (the war against the Japanese in the year of Imjin). From 1699, Byeonjang s regular investigation was institutionalized. Third, the fact that An Yong Bok went to Japan directly without going through Tsushima-beon indicated the possibility that Chosun could directly enter into the friendly relations with the Japanese Makbu when Tsushima exclusively held the diplomatic authority with Chosun. As Amenomori Hoshu, the diplomatic expert for Chosun and a scholar of Tsushima-beon, mentioned, Diplomatic Dispute over Ulreungdo which was initiated by An Yong Bok s visit to Japan was an incident that became a turning point in the diplomatic negotiation between Chosun and Japan. Therefore, Diplomatic Dispute over Ulreungdo initiated by An Yong Bok s visit to Japan overthrew the abnormal diplomatic convention between Chosun and Japan in the late Chosun dynasty after Imjinwaeran, enabled the normal diplomatic principles to process the incident and became the turning point of the diplomacy between Chosun and Japan.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안용복의 피랍ㆍ도일사건 개요
Ⅲ. 안용복의 피랍ㆍ도일을 둘러싼 논쟁점
  1. 서계의 존재 유무
  2. 안용복의 독도인지 여부
Ⅳ. 맺음말-안용복 피랍ㆍ도일사건의 의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장순순(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연구교수) | Jang, sun s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