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비영리기관 재정에서 개인기부 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Financial contributions from the private non-profit research on actual conditions and active measur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285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Practice)
초록

우리나라 기부문화는 지속적인 발전에도 불구하고, 민간기부의 근원이라고 할 수 있는 개인 기부가 서구사회에 비해 현저히 뒤떨어져 있다. 특히, 국내 10대 재벌들의 사회 기부금은 미국 초우량 기업과 비슷한 반면 재벌 오너들의 개인 기부는 외국 기업가에 비해 턱없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영리기관의 재정은 비영리라는 특성상 상당한 한계에 있으며,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재정원천으로써 개인기부는 향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재정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미국 전체가구 중 13%는 연간소득수준이 10만 달러에서 10억 달러이며, 미국 전체 소득의 38%를 차지하며 항목별로 나누어진 기부금에 43%를 기부하고 있다. 미국 전체가구 중 0.4%는 연간소득수준이 10억 달러 이상을 벌며, 미국의 총소득의 14%를 차지하며 항목별로 나누어진 기부금에 16%를 기부하고 있다. 많은 비영리기관에서 개인기부는 보조직원의 보수, 간접비 지불, 회계 및 예산 등과 같은 것들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재정원천이 되고 있다. 인디아나 주의 비영리기관 인구조사에서 단지 비영리기관의 52%만이 직원들에게 봉급을 주었고, 대부분의 임금자들은 매우 작은 양의 임금을 받고, 비영리기관 3개의 풀타임 직원과 비영리기관 3개의 파트타임 직원은 평균수준 이었다. 조사에 의하면, 많은 비영리기관들이 재정지원자에게 의존하고 있었고, 더 나아가서 비영리기관의 63%는 모금활동을 하는 풀타임 직원들에게 아무런 대가를 지불하지 않고 있었다. 이것은 2001년의 IRS 990을 보면 34% 인 66,500명이 5만 달러를 직접적으로 받지 않았고, 이들 중 절반인 35,244명은 임금을 받은 적이 없었다. 개인기부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면, 첫째, 법적 환경의 개선, 둘째, 세제혜택을 통한 기부금 유도, 셋째, 기부행동에 대한 교육 및 홍보, 넷째, 기부의 전문화 및 비영리 마케팅개념의 도입, 다섯째, 비영리조직의 신뢰성 증진 등이 있다.

Donations continued development of the country in spite of culture, he can be a source of private donations by private donations, compared to Western society has significantly lag behind. In particular, the Korean conglomerate's 10 business and community donations chowooryang U.S. tycoon owner of the private donations, while a similar foreign companies showed that compared with unreasonably low. The non-profit organization's financial limitations and the substantial nature, stable and continuous source of financial contributions by individuals in the future has very important meaning, can receive financial assistance could be the most powerful way. 13% of U.S. households have an annual income level is 100000-1000000000 U.S. dollars, accounting for 38% of total U.S. income, divided by topic and are donating 43% on donations. 0.4% of total U.S. household annual income of more than 10 beolmyeo, the U.S. accounted for 14% of the total income divided by item 16% of donations are donations. Private donations from many non-profit organizations pay a second employee, pay overhead costs, such as accounting and budget to pay for things an important financial source said. Note only non-profit organizations in Indiana Census, only 52% of non-profit agencies gave employees paid, most of the characters were very small amounts of wages under wage, non-profit organizations a full-time employees and 3 part-time employees an average of 3 non-profit organizations It was level. According to our research, many non-profit organizations, and was dependent on their financial applicants, a further 63% of non-profit organizations for fundraising, no full-time employees were not paid for. According to 2001 IRS 990 which 34% is 50,000 and 66,500 people did not directly, 35,244 men, half of them had never received wages. Look at ways to enable private donations, first, the improvement of legal environment, and second, sent donations through tax benefits, third, and promote education about the donation act, fourth, donated the introduction of the specialized and non-profit marketing concept, fifth, non-profit organization include reliability enhancement.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개인기부의 유형과 경향   
Ⅲ. 비영리기관에서 개인기부   
Ⅳ. 한국의 기부문화      
   1) 기부 참여율      
   2) 기부 참여율의 변화      
   3) 기부의 정기성      
   4) 기부동기      
   5) 기부에 참여하는 경로      
   6) 기부를 하지 않는 이유      
   7) 기부의 방법     
   8) 기부금이 사용되기 원하는 분야      
   9) 기부단체 운영 및 행정비      
   10) 기부단체에 대한 신뢰도      
   11) 향후 기부참여 의사      
   12) 기부 사용내역의 결과 보고      
   13) 세금혜택이 기부참여 의사에 미치는 효과      
   14) 정기적으로 기부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요인   
Ⅴ. 개인기부 활성화 방안      
   1) 법적 환경의 개선:기부금품모집규제법      
   2) 세제혜택을 통한 기부금 유도      
   3) 기부행동에 대한 교육 및 홍보      
   4) 기부의 전문화 및 비영리 마케팅 개념의 도입      
   5) 비영리조직의 신뢰성 증진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권오균(문경대학 사회복지과 교수) | Kwon, Oh Gy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