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정신장애인의 재활을 위한 지역사회 정신보건서비스 구축 방안에 관한 소고

A Study on the Method of Establishing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for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Rehabilit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290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Practice)
초록

최근 들어 사회가 복잡해지고 도시화, 기계화됨에 따라 각종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사회병리현상도 증가했다. 또한 의학발달과 함께 질병에 대한 치유율이 높아지고 그로 인해 장애인은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전통적인 지역사회의 사회통합력이 약화되면서 정신장애인들에 대한 사회적 지지는 오히려 감소하고 있다. 정신장애인들은 의료서비스를 받은 후 일차적인 증상이 없어졌다 하더라도 지역사회에서 생활할 때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지역사회에서 생활하고 있는 정신장애인은 복합적인 사회적 기능장애를 가진 상태이기 때문에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에 적응하기가 더욱 취약하다. 정신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지역사회에서 최대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능력과 그들의 취미, 직업, 교육 등의 잠재적 능력을 발달시켜 최대한 정상에 가까운 풍요로운 삶을 살 수 있도록 지원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국 지역사회 정신보건 재활프로그램(Program of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과 선진국의 정신보건정책 등을 통해 정신장애인들이 지역사회에서 적응할 수 있는 정신보건서비스 구축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려고 한다.

Recently our society has become more complex, urbanized and mechanized, consequently social pathology and various kinds of stresses have increased. In addition, the number of people with disabilities grows increasingly with the help of the development of medical science and the increase of recovering rate. While traditional community's unification capability becomes weakening over time, social support for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has decreased.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have plenty of difficulties in living in the community, although they relieved from the primary symptoms after medical service. They have complicated social-functioning impairment in the community, therefore they are vulnerable to adapting themselves to the various and complex environment.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should be aided to develop physical, mental and social capabilities, and potentials in their interests, careers and education. Then they could raise their well-being as much normal as possible.Consequently, this study aims to suggest methods of establishing mental health services which support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to integrate into their community, through surveying ‘Program of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of community mental health in the United States and mental health policies in developed countrie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1. 문제 제기
 Ⅱ. 문헌고찰
  1. 정신장애의 정의와 특성
  2. 지역사회 정신보건서비스
 Ⅲ. 지역사회 정신보건서비스 현황 및 문제점
  1. 지역사회 정신보건서비스 현황 및 문제점
 Ⅳ. 미국, 영국, 일본 그리고 호주의 정신보건정책 및 서비스의 사례
  1. 미국 정신장애인 지역사회보건 정책과 미시건주의 ACT프로그램
  2. 일본의 정신장애에 대한 지역사회 보건정책
  3. 영국의 정신장애인 복지정책
  4. 호주의 정신보건 복지정책 및 호주의 구역별 정신보건서비스
 Ⅴ. 결론 및 제언
  1. 지역사회 정신보건 프로그램의 확대와 지역사회 정신보건서비스구축에 따른 기대 효과
  2.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경자(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 Lee, Kyung J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