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서부지역 역삼동 · 흔암리유형의 취사용토기 연구 KCI 등재

AStudy of Cooking Pottery in Yeoksam-dong and Heunam-ri Cultural Assemblage in the Middle-Western Provi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314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韓國靑銅器學報 (한국청동기학보)
한국청동기학회 (Society for Korean Bronze Culture)
초록

이 논문은 전기 청동기시대에 출토된 무문토기 가운데 취사에 사용된 토기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중서부지역의 천안 백석동, 운전리 유적을 중심으로 취사의 용도로 사용된 토기를 살펴본 결과 주로 발형토기가 그 기능을 담당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취사용 발형토기와 취사용으로 사용되지 않은 발형토기의 형태적 특징을 비교해 본 결과‘취사’라는 특정한 용도에 알맞도록 제작되지 않았음을 알 수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그 당시 천안 백석동, 운전리 유적에서 토기를 만들어 사용한 집단의 토기 제작및 사용에 대한 관념과 관련이 있다. 취사용토기가 용도에 적합한 특정화된 속성을 가지고 제작되지않았음은 전기 청동기시대 당시 천안 백석동과 운전리 유적에 거주했던 사람들이 토기를 제작할 당시 취사의 기능을 의도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토기를 제작할 때 그 쓰임새가 미리 부여되는 것을‘의도된 기능(intended function)’이라 본다면 그것이 실제로 사용되는 것은‘행위적 기능(actual function)’이라 볼 수 있다(James M. Skibo 1992). 토기의 크기, 구연부형태, 구순형태, 동최대경의 위치, 저부형태, 문양 등은 토기 제작 당시 결정되는 요소이다. 속성의 차이는 기능의 차이를 반영하는데, 토기에 나타나는 속성들은 정해진 기능에 알맞도록 그 당시‘의도된 기능’에 따라 적합하게 제작되었을 것이다. 이렇게 제작된 토기는‘행위적 기능’으로 처음 제작 의도에 맞게 사용되기도 하고 다르게 사용되기도 한다. 취사용토기가 특정화된 형태로 제작되지 않았음을 볼 때‘취사’는‘행위적 기능’의 맥락이라 여겨진다. 따라서 전기 청동기시대 천안 백석동, 운전리에서 거주하던 집단에 있어 취사 기능이 토기 제작이라는 범주에서 독립적인 위치를 차지하지 않았다고 여겨진다.

This paper dealt with mainly the cooking pottery among plain coarse pottery(Mumun pottery)excavated in the early Bronze Ag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ottery which was used forcooking focusing on sites at Baekseok-dong, Unjeon-ri in Cheonan, Middle-Western of Korea, itwas confirmed that mainly bowl(Balhyoungtogi) had a role of cooking function. As a result ofcomparing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bowl used for cooking and those not used for it, theywere not produced for the specific usage of ‘cooking.’It seems to be related to the conceptionof manufacture and usage of the cooking pottery in the lived at Baekseok-dong and Unjeon-ri inCheonan province. The fact that the pottery for cooking was not manufactured with propertiesspecialized for the usage: It is said that the people who lived at Baekseok-dong and Unjeon-ri inCheonan province did not mean to consider the function of cooking when they made the potteryin the early Bronze Age. According to James M. Skibo(1992), It would be seen as ‘intended function’if the usage wasgranted in advance when pottery were manufactured while it would be ‘actual function’when itwas granted when it is actually used. The size, the shape of mouth rim, the position of the diam-eter of widest body, the shape of lower part and pattern, etc., of pottery are the properties deter-mined at the time of manufacture of the pottery. The differences in properties reflect those offunctionalities and the properties shown in the pottery would be manufactured appropriately forthe ‘intended function’fitting the fixed function. The pottery manufactured like this may beused for the initial intention in the ‘actual function’or may be used differently. Judging from thecooking potteries weren't manufactured in a specialized shape, ‘cooking’is considered as a con-text of ‘actual function.’Thus cooking function did not stand as an independent position in thecategory of making potteries to the groups, who lived at Baekseok-dong and Unjeon-ri inCheonan in the early Bronze Age.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취사흔적 관찰의 기준
 Ⅲ. 취사흔적의 형성과 요인
 Ⅳ. 취사용토기의 형태적 특징 분석
  1. 발형토기 분석
  2. 취사용 발형토기의 속성
 Ⅴ. 결론
 참고문헌
 영문요약
저자
  • 金智賢(충남대학교대학원 졸업) | 김지현